국내 인구가 전반적 감소세에 접어든 가운데, 인구가 늘어난 경기, 인천에서도 지역 간 양극화가 극심한 것으로 나타났다. 인천의 경우 서구처럼 3만명 넘게 인구가 급증한 곳이 있는가 하면 1만명 넘게 감소한 남동구도 있었다. 경기에서도 부천시는 1만6천명 가까이 줄어 1만명 넘게 늘어난 화성시, 평택시, 파주시 등과 뚜렷한 대조를 이뤘다.
15일 행정안전부가 공개한 인구 통계를 보면, 지난해 12월31일 기준으로 국내 주민등록 인구는 5143만9038명으로, 전년도에 견줘 19만9771명 줄었다. 국내 주민등록 인구는 2019년(5184만9861명) 정점을 찍은 뒤 3년 내리 줄었다. 지난해 순수 자연적 요인(출생 수 빼기 사망 수)에 따른 감소분은 11만8003명으로 역대 최대였고, 장기 거주 불명자로 분류돼 주민등록이 직권 말소된 경우도 10만1938명에 이르렀다.
전반적인 인구 감소 추세 속에서 1년간 1만명 이상 인구가 늘어난 시·군·구는 전체 226곳 중 52곳에 달했다. 이 가운데 증가 폭이 큰 시·군·구는 인천, 경기 지역에 몰려 있었다. 특히 검단 신도시 입주가 한창인 인천 서구가 전년 대비 3만3633명이 늘었다. 신도시가 조성되고 있는 경기 화성시, 평택시, 파주시도 각각 2만3799명, 1만4241명, 1만2070명 늘었다. 인구 감소 폭이 큰 시·군·구도 인천·경기 지역에 많았다. 경기 부천시가 전년보다 1만5939명 줄어 감소 폭이 가장 컸고, 인천 남동구(1만2091명 감소), 경남 창원시(1만1254명 감소), 경기 안산시(1만1066명 감소), 부산 해운대구(9653명 감소) 등이 뒤를 따랐다. 이상호 한국고용정보원 부연구위원은
“경기 부천시와 안산시, 인천 남동구처럼 원도심과 전통적인 제조업 산업단지가 쇠퇴하면서 인구가 빠져나가는 지역이 수도권에서도 점점 늘어날 것”이라며 “지방소멸 현상은 일부 지역 농어촌만의 문제가 아니다”라고 지적했다.
광역 시·도 중에선 5곳의 인구가 늘었다. 경기와 인천이 각각 2만3982명, 1만8939명 늘었고, 세종, 충남, 제주가 각각 1만1696명, 3780명, 1400명 늘었다. 광역 시·도 가운데 인구수가 가장 많이 줄어든 곳은 서울(8만1086명 감소)이었고, 경남(3만3690명 감소), 부산(3만2568명 감소), 경북(2만6117명 감소), 대구(2만1721명 감소)가 뒤를 이었다. 서울 인구는 대부분 인접한 경기·인천으로 빠져나간 것으로 보인다. 이상호 위원은 “지난 20년간 인구 이동으로 호남 지역은 이미 대부분 저점을 찍었고, 영남 지역은 조선업과 제조업의 입지 변화에 따라 젊은층을 중심으로 인구 유출이 본격화한 단계”라고 진단했다.
전체 인구 중 고령층(65살 이상) 비중은 18.0%로 나타났다. 2021년 말엔 17.1%였다. 여성 고령층은 20.1%로 처음으로 20% 선을 넘었다. 남성 고령층은 15.9%였다. 유엔은 65살 이상 인구 비중이 20% 이상이면 ‘초고령사회’로 분류한다. 광역 시·도별 고령층 비율은 전남(25.17%), 경북(23.78%), 전북(23.20%), 강원(22.77%), 부산(21.47%), 충남(20.58%)이 20%를 넘었다. 충남은 이번에 처음 20%를 넘어 고령사회에서 초고령사회로 진입했다.
김선식 기자
kss@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