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인간과동물

산천어처럼 괴롭히다 죽이는 동물축제, 시민 77% “이대론 안돼”

등록 2023-01-12 13:41수정 2023-01-12 20:02

[애니멀피플]
축제 프로그램 83.7%가 ‘죽거나 고통’…50%는 맨손잡기
시민 60%는 동물학대 여론 때문에 행사 참가 주저하기도
지난 7일 3년 만에 개막한 ‘얼음나라화천 산천어축제’는 얼음낚시, 맨손잡기, 밤낚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천군 제공
지난 7일 3년 만에 개막한 ‘얼음나라화천 산천어축제’는 얼음낚시, 맨손잡기, 밤낚시 등의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화천군 제공

고래, 산천어, 나비, 낙지 등 전국 각지에서 동물을 내세우는 지역 축제가 늘고 있다. 3년 만에 개막한 ‘얼음나라화천 산천어축제’는 지난 주말만 26만여명이 찾는 등 성황을 누리고 있다. 과연 이 축제들에서 동물은 어떻게 이용되고 있을까.

물살이가 무슨 죄…축제 절반은 ‘맨손잡기’

서울대 수의과대학 천명선 교수 연구팀은 2018~2022년 ‘국내 동물이용축제 현황조사 보고서’(생명다양성재단)와 ‘지역 축제 동물복지에 대한 시민 인식조사’(환경부·한국연구재단)를 잇따라 발표했다. 시민 인식조사 논문은 지난해 12월 농업환경윤리저널에 실렸다.

국내 동물이용축제 현황조사 보고서. 그래픽 생명다양성재단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축제 현황조사에 따르면, 전국의 축제 1214개 가운데 동물을 이용하고 있는 축제는 86개로 전체의 약 7%를 차지했다. 다양한 동물을 주제로 하고 있지만 대부분의 축제는 맨손잡기, 낚시, 채집, 싸움 등 직접적이고 단순한 1차적인 형태(84%)으로 이뤄지고 있었다.

문제는 이런 축제가 동물에게 가하는 고통이 극심했다는 점이다. 86개 축제에서는 총 129개의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었는데 프로그램의 84%가 ‘동물이 죽거나 죽이는 것에 해당하는 고통’을 주는 방식이었다. 축제에 가장 많이 이용되는 동물은 어류(60%)로 프로그램의 절반 가까이가 ‘맨손잡기’(46.5%)를 시행하고 있었다. 또한 이렇게 포획된 송어, 빙어, 산천어, 낙지, 돼지 등은 먹는 행위(78.3%)로 이어졌다.

국내 동물이용축제 현황조사 보고서. 그래픽 생명다양성재단 제공 ※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볼 수 있습니다.

국내 동물이용축제 현황조사 보고서. 그래픽 생명다양성재단 제공
국내 동물이용축제 현황조사 보고서. 그래픽 생명다양성재단 제공

이런 동물축제에 대한 시민의 생각은 어떨까. 연구팀은 지난 2019년 9월부터 10월까지 전국 성인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동물축제 이용경험, 동물축제를 찾은 이유, 재방문 의사, 동물복지 인식 등을 설문해 분석했다.

조사 결과, 동물축제에 참가한 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전체의 66%였다. 이들이 축제를 찾은 주된 이유는 가족과 함께 여가를 즐기기 위해서였다. 축제에 참가한 시민 중 절반(47%)은 낚시, 맨손잡기, 먹이주기 등에 참여했는데, 이들 중 80.5%는 재참가 의사가 있다고 밝혔다.

“시민은 정부의 적절한 개입 지지”

그렇지만 대체로 시민들은 축제의 동물복지 수준이 낮다고 평가했다. 응답자의 77%는 동물복지 개선을 위해 행사 주최와 국가가 정부 차원에서 조치를 취해야 한다고 답했다. 주된 이유로는 ‘동물에게 불필요한 고통을 주는 것이 비윤리적’(71%)이며 ‘동물을 무분별하게 다루는 것은 생명을 존중하지 않는 것’(62%)이란 의견이 때문이었다. 잔인한 동물체험 방식에 대한 사회적 비판 때문에 참가가 꺼려졌다고 답한 시민도 59.6%에 달했다.

지난 주말 화천산천어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이 얼음 낚시터에서 산천어 낚시를 하고 있다. 화천군 제공
지난 주말 화천산천어축제를 찾은 관광객들이 얼음 낚시터에서 산천어 낚시를 하고 있다. 화천군 제공

논문 주저자인 주설아 서울대 수의인문사회학교실 박사과정생은 “이번 연구는 시민들이 동물축제에 대한 정부의 적절한 개입을 지지한다는 것을 보여준다. 행사 주최 측이 동물복지를 강화한다면 방문객의 윤리적 우려를 불식시키는 동시에 인간과 동물의 관계를 재정립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논문은 동물축제의 윤리적 문제, 동물학대 논란에 대한 대중의 인식은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중심으로 계속 강화될 거라 내다봤다.

한편 환경부는 2020년 서울대 수의과대학에 연구를 맡겨 ‘동물 이용 축제 가이드라인’을 제작했으나, 축제를 여는 지자체 등 이해관계자들과 합의를 하지 못했다는 이유로 비공개 처리하고 있다.

김지숙 기자 suoop@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수달, 일본 간다…“동물 상호 기증” 1.

우리나라 천연기념물 수달, 일본 간다…“동물 상호 기증”

천적 장수말벌 ‘쪄 죽이는’ 재래꿀벌, 수명 단축 대가 2.

천적 장수말벌 ‘쪄 죽이는’ 재래꿀벌, 수명 단축 대가

푸른 뱀의 해 2025년…그런데 뱀이 무섭다고요? 3.

푸른 뱀의 해 2025년…그런데 뱀이 무섭다고요?

빗해파리의 ‘일회용’ 항문…볼일 끝나면 사라져 4.

빗해파리의 ‘일회용’ 항문…볼일 끝나면 사라져

스무살 넘는 고양이 흔하다? 기대수명은 훨씬 짧은 ‘11.7년’ 5.

스무살 넘는 고양이 흔하다? 기대수명은 훨씬 짧은 ‘11.7년’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