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니멀피플]
책 <사랑할까, 먹을까> 황윤 감독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 제작부터 고기의 생산 과정을 관찰·사유한 8년
공장식 축산이 미치는 영향이란…“육식은 세상과 연결된 사회·정치적 행위”
책 <사랑할까, 먹을까> 황윤 감독
영화 <잡식가족의 딜레마> 제작부터 고기의 생산 과정을 관찰·사유한 8년
공장식 축산이 미치는 영향이란…“육식은 세상과 연결된 사회·정치적 행위”
황윤 다큐멘터리 감독은 최근 펴낸 <사랑할까, 먹을까>에서 고기에 대한 욕망으로 고통 받는 동물들의 현실을 직시했다. 자신의 책을 보고 있는 황 감독을 그의 남편 김영준 수의사가 직접 찍었다.
집에서 15분 거리에 돼지가 살고 있었다 26일 서울 이태원의 한 카페에서 <애니멀피플>과 만난 황 감독은 2010년 아이가 두 돌이 지나고 한창 육아에 매진하던 때, 아이에게 동물이 나오는 동화책을 읽어주다 텔레비전에서 들려온 살처분 보도의 충격을 말했다. 그의 인생은 수천 마리의 돼지가 비명을 지르던 아비규환의 살처분 구덩이를 본 이전과 이후로 나뉘었다. 직접 그 현장을 확인했다. 당시 천안시의 한 아파트에 살았던 그는 집에서 차로 불과 15분 거리에 돼지 농장이 있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렇게 가까운 곳에 돼지가 살고 있었는데, 단 한 번도 살아있는 돼지를 본 적이 없었던 거죠.”
산골 농장에 사는 아기 돼지가 카메라와 눈을 맞추고 있다. 황 감독은 “농장에서 만난 돼지들은 인지 능력이 뛰어나고 감수성이 풍부한 동물이었다”고 말했다. 한겨레출판 휴 제공
옴짝달싹 못한 채 갇혀 있는 돼지들. 한겨레출판 휴 제공
공장 밖 돼지들의 발견 그의 설명을 요약하면 이렇다. 항생제, 호르몬제, 피부병약, 기관지약 등 여러 약물에 의지해 고기를 생산하는 기계, 알 낳는 기계로 사는 동물들은 은폐돼 있다. 은폐된 농장에서 태국, 네팔, 중국 등지에서 온 이주 노동자들이 분뇨를 치우다 질식사하기도 한다. 공장식 축산은 온실가스 배출로 인한 기후 재난의 원인이 되고, 밀집 사육으로 바이러스의 온상이 되기도 하는데, 이 행위를 계속한다면 지구의 생명력이 지속 가능할까. 거대하고 심각한 이야기를 하지 않더라도, 까맣고 동그란 돼지의 눈을 여러 번 들여다보는 시간만으로도 ‘사랑할까, 먹을까’라는 질문에서 사랑 쪽으로 무게 추가 미끄러져 내려갔다. 산골 농장에서 지푸라기를 헤집으며 뛰어노는 아기 돼지의 눈은 장난기로 빛났다. 아이에게 차마 보여주지 못한 공장 돼지의 동공은 끝이 보이지 않는 동굴 같았다. 공장 밖의 돼지들은 자는 곳과 배설 장소를 구분하는 깔끔한 동물이었고, 절대 ‘돼지처럼’ 많이 먹지 않았다. 어미 돼지들은 공동 육아를 하며 서로의 새끼를 아끼고 사랑했다. 개 못지않은 풍부한 감정으로 인간과 교감하는 동물이기도 했다.
황윤 감독은 공장식 축산의 비인간성과 파괴성이 결국 지구 생태계를 지속가능하지 못하게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더 가담할 수 없는 폭력의 세계 2011년 무턱대고 돼지 농장을 찾아나섰을 때부터 지금까지 8년여 동안 끝없이 질문하고 답을 찾아가는 여정이 계속된 데는 고기가 나오는 급식 대신 채식 도시락을 싸가는 걸 선택한 도영이의 힘이 컸다. “좋은 부모가 되기 위해서 질문을 꾸준히 간직했던 것 같아요. 제가 엄마라는 위치에 있었던 사람이기에, 이제 막 새끼를 낳아서 젖을 물리던 돼지가 아기 돼지와 같이 구덩이에 쳐넣어지던 그런 장면을 봤을 때…. 몰랐을 땐 어쩔 수 없었더라도 이제는 알게 되었으니 거기에 더 가담할 수 없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공장식 축산 농장에 사는 한 돼지가 스툴에 갇혀 있다. 한겨레출판 휴 제공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