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주왕산에도 산양이 산다

등록 2017-11-26 11:59수정 2017-11-26 14:41

[애니멀피플]
주왕산국립공원서 산양 2마리 최초 발견
산양
산양
경상북도 주왕산국립공원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 산양 2마리가 사는 것이 확인됐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주왕산국립공원 절골지구 인근에 설치된 무인센서 카메라에 멸종위기 야생생물 1급인 산양 2마리가 포착됐다고 26일 밝혔다. 주왕산국립공원에서 산양이 발견된 것은 1976년 주왕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후 처음이다. 올해 4월과 9월 2번에 걸쳐 서로 다른 산양이 카메라에 찍혔다. 무게는 각각 25㎏, 35㎏으로 추정된다. 다 자란 산양이 몸무게가 22~35㎏ 정도이다.

국립공원관리공단 연구진은 주왕산 부근에 최소 3마리의 산양이 서식할 것으로 추정한다. 배설물량과 카메라에 찍힌 2마리의 크기에 비춰봐서다.

주왕산국립공원에서 발견된 산양 2마리.
주왕산국립공원에서 발견된 산양 2마리.
현재 산양은 백두대간을 따라 지정된 국립공원에 약 400~450마리가 서식하고 있다. 설악산, 오대산, 태백산, 월악산, 속리산, 소백산에 이어 주왕산이 7번째다. 국립공원 외 서식 지역에는 인제군과 울진군이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이번에 주왕산에서 발견된 산양 2마리가 외부에서 유입된 개체인지, 과거부터 주왕산에 살았던 개체가 서식지가 안정이 되고 발견된 것인지를 배설물과 털 등의 유전자를 분석해 확인할 계획이다.

경북지역 백두대간에 속한 주왕산에서 산양의 서식이 확인됨에 따라 이곳 일대가 백두대간 동해안 지역 북부와 남부의 산양 서식지를 연결하는 중요 지역이 될 것으로 보인다.

산양은 몸길이가 105~130㎝이며 꼬리 길이는 11~16㎝로 매우 짧고 몸무게는 22~35㎏이다. 암수 모두 뿔을 갖고 있다. 몸의 전체적인 털은 회갈색으로 일부는 담흑갈색이다. 머리는 짙은 황색이고 뺨은 흑색이며 목은 백색의 털이 있다.

짝짓기는 1~2년에 한 번으로 10~12월에 시도한다. 임신 기간은 약 250일 내외로 5~7개월에 1개체를 출산한다. 서식지로는 경사가 급한 바위가 있는 험한 산림지대를 좋아하며 단독 혹은 무리생활을 한다. 먹이는 식물의 잎과 종자를 주로 먹으며 연한 줄기와 잎을 주로 먹는데 먹이가 부족한 경우 침엽수, 이끼류도 먹는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사진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국립공원 지역에 400~450마리의 산양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국립공원 지역에 400~450마리의 산양이 살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설악산 비선대에 오른 산양.
설악산 비선대에 오른 산양.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1.

반려동물 방광암 예방, 방향제도 조심…먼지 제거 청소 열심히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2.

소·돼지 도살 직전까지 이런 고통 줘야 하나?…“당장 개선해야”

[웹툰] 우린 계속 걷자 3.

[웹툰] 우린 계속 걷자

널 ‘강아지 별’로 보낸 뒤… 펫로스 증후군 대처하는 자세 4.

널 ‘강아지 별’로 보낸 뒤… 펫로스 증후군 대처하는 자세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