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청둥오리의 마지막 비행

등록 2018-03-12 08:00수정 2018-03-12 16:26

[애니멀피플] 김진수의 진버드
어른 안 된 흰꼬리수리의 서툰 사냥
가까스로 잡았지만 옮기긴 버거워
흰꼬리수리가 보였다. 2015년 12월 강원도 철원에 있는 저수지 위를 두 마리가 교대로 선회하고 있었다. 태어난 지 4년쯤 됐을까. 어른 새 꽁지깃은 온통 흰색이지만 이들은 쐐기 모양 꽁지깃 가장자리에 흙갈색이 아직 남아 있었다. 미성숙 개체다. 어린 새는 사냥도 서툴다. 어미 새를 따라 사냥 연습이라도 하듯 두 새는 번갈아 물로 곤두박질치곤 다시 날아오르기를 반복한다.

흰꼬리수리는 멸종위기 야생동물 1급으로 지정된 국제 보호조다. 적은 수가 한반도로 날아와 겨울을 난다. 다 자라면 몸무게가 5㎏이 넘고 날개 길이는 2.5m에 이른다. 큰 덩치를 유지하기 위해 하루 500~600g을 먹어야 한다. 매처럼 빨리 잘 날지도 못해 사냥 성공률이 높지 않다. 해안이나 커다란 호수나 하천 하구에서 물고기나 새를 사냥하며 힘겹게 겨울을 난다. 사냥 못하는 독수리를 위해 겨우내 사람이 차린 `독수리 식당’에도 자주 기웃거린다.

물 위에서 자맥질하듯 첨벙대던 새가 큰 날개를 퍼덕거리며 날아올랐다. 이번엔 커다란 사냥감을 움켜쥐었다. 청둥오리 암컷이다. 큰 새의 몸무게는 1.5㎏도 더 나간다. 사냥감이 무거운지 새는 멀리 날아가지 않았다. 저수지 옆 제방에 내려앉았다. 차에 올라타 조심스럽게 다가갔다. 제방으로 이어진 길은 험한 비포장 농로다. 마침 며칠 전 내린 눈이 녹아 차가 빠지는 진창길이었다. 승용차라면 지나갈 엄두도 내지 못했을 것이다. 운 좋게 사륜구동차를 구입한 지 얼마 되지 않았을 때였다. 가까이서 사진을 찍어도 신경을 쓰지 않는다. 사냥감 손질에만 몰두한다. 허탕 친 다른 새가 먹이를 빼앗아가려고 달려든다. 같은 형제 같지만, 먹이를 나누지는 않는다. 도망치듯 다시 날아오른 흰꼬리수리 날개 사이로 청둥오리가 드러났다. 몸과 고개가 축 처졌다. 아직 숨이 붙어 있는 새는 발을 움츠리고 가늘게 입을 벌리고 있다. 청둥오리의 마지막 비행이다.

김진수 한겨레21 기자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4.

아부지 차 뽑았다, 히끄야…첫 행선지는?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5.

서두르지 마세요…반려동물의 ‘마지막 소풍’ 배웅하는 법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