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애니멀피플 야생동물

[영상] 귀여운 아기곰 보세요…반달곰 56마리 사는 지리산

등록 2018-04-15 12:00수정 2018-04-15 14:44

[애니멀피플]
지난겨울 어미 8마리가 새끼 11마리 출산 ‘경사’
지리산 야생서식 개체 56마리로 늘어나
환경부, 주민·시민단체 등과 협의체 구성
지난겨울에 태어난 새끼곰.
지난겨울에 태어난 새끼곰.
올겨울 지리산 반달가슴곰 새끼 11마리가 태어난 것으로 확인됐다. 지리산 야생에서 사는 반달곰은 모두 56마리로 늘었다. 반달가슴곰의 서식지가 확대됨에 따라 환경부는 다음 달부터 지자체, 시민단체, 지역주민,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함께 ‘반달가슴곰 공존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할 계획이다.

환경부 산하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올해 2월부터 최근까지 지리산 반달가슴곰의 새끼 출산을 조사한 결과, 어미 8마리가 11마리의 새끼를 낳은 것을 확인했다고 15일 밝혔다. 어미 8마리 중 6마리는 지리산 야생에서 활동 중이고, 2마리는 전라남도 구례군에 있는 국립공원 관리공단 종복원기술원 안 자연적응훈련장에 있다. 8마리는 야생에서 태어났고 3마리는 훈련장에서 태어났다.

야생에서 새끼를 낳은 어미 곰들은 교미기인 지난해 6~8월에 각각 다른 수컷과 어울려지내다 1월말 출산한 것으로 추정된다.

보통 반달곰은 해발 1100m 이상 고지대에 굴을 만들어 겨울잠을 잔다. 천적으로부터 새끼를 보호할 수 있는 암반 절벽이나 넝쿨로 뒤덮인 은신처를 좋아한다. 보통 6월~8월 사이 교미하지만 교미 후 수정란은 자궁에 바로 착상되지 않는다. 가을철 먹이를 충분히 먹고 영양상태가 좋아지면 그제야 착상하는 ‘착상지연’이 일어난다. 새끼 출산은 겨울잠을 자는 도중인 1~2월 사이에 한다. 막 태어난 새끼는 고작 200g~400g이지만 금세 3~4kg까지 자란다.

지난 겨울 태어난 새끼곰들.
지난 겨울 태어난 새끼곰들.
어미곰 8마리에 대해 좀 더 알아보면, 2마리는 12살과 5살로 2007년 러시아에서 왔다. 1마리는 2008년 서울대공원에서 온 12살 암컷이다. 3마리는 지리산에서 태어난 2세대 개체였다. 야생에서 태어난 개체가 새끼를 낳는 것은 3년 연속이다.

올겨울 야생에서 태어난 새끼 8마리를 합쳐 현재 지리산 야생에 56마리의 반달가슴곰이 살고 있다. 국립공원관리공단은 자연적응훈련장에서 태어난 새끼 3마리도 올해 9월에 방사할 계획이다. 그동안 환경부는 반달가슴곰이 존속할 수 있는 최소 개체군을 50마리로 측정했다. 2020년이 달성 목표였는데 2년 먼저 도달했다.

지리산에서 태어난 반달가슴곰은 2009년 태어난 2마리부터 이제 44마리로 늘었다. 44마리 중 4마리는 폐사했다. 2마리는 자연학습장에 있는데 1마리는 부상을 입었고 1마리는 야생성을 잃은 것으로 판단됐다. 나머지 38마리가 야생에 있다. 환경부와 국립공원관리공단 쪽은 유전적 다양성을 늘리기 위해 2020년까지 국외에서 반달가슴곰을 추가 도입할 예정이다.

반달곰의 수가 늘어난 것을 두고 환경단체는 환영하면서도 반달곰의 미래가 장밋빛만은 아니라고 지적했다. 사단법인 반달곰친구들은 “반달곰 복원사업이 반달곰의 멸종예방과 서식환경 개선, 생물다양성 증진, 야생동물과 (인간이) 공존하는 환경 조성 등을 목표로 하였으나 반달곰 개체 수 증가를 제외한 다른 측면은 매우 미흡하다”라며 “수도산으로 간 KM-53을 두번이나 회수했고, 지역주민들이 반달곰과의 공존에 부정적”이라고 지적했다. 이 단체는 2013년부터 5년 동안 지리산권 4개 시군에서 수거한 불법엽구(올무 등)의 총수가 1304개나 됐다고 밝혔다.

환경부는 5월부터 지자체, 시민단체, 지역주민, 국립공원관리공단과 함께 반달가슴곰 공존 협의체를 구성·운영할 예정이다.

최우리 기자 ecowoori@hani.co.kr, 사진·영상 국립공원관리공단 제공, 영상편집 박선하 피디 salud@hani.co.kr

곰을 만났을 때는 시선을 피하지 말고 뒷걸음질치며 도망가야 한다.
곰을 만났을 때는 시선을 피하지 말고 뒷걸음질치며 도망가야 한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애니멀피플] 핫클릭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1.

1600㎞ 날아가 날개 부러진 채 발견된 21살 매의 노익장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2.

노화의 3가지 수의학적 지표…우리 멍냥이는 ‘어르신’일까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3.

새끼 지키려, 날개 부러진 척한다…댕기물떼새의 영리한 유인 기술

북극곰 털은 왜 얼어붙지 않을까…비밀은 ‘피지’에 있었다 4.

북극곰 털은 왜 얼어붙지 않을까…비밀은 ‘피지’에 있었다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5.

온난화로 따뜻해진 도시, ‘서울쥐’에겐 천국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