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나무쟁기가 1500년 동안 안 썩고 버텼다, 그것도 물 속에서

등록 2022-07-07 15:58수정 2022-07-07 18:02

몽촌토성서 고구려 쟁기 출토
물에 잠겨 공기접촉 차단돼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서울 몽촌토성에서 1500여 년 전 제작된 나무쟁기가 온전한 형태로 처음 발굴됐다.

서울시 한성백제박물관은 올해 4월 몽촌토성 발굴조사 중 집수지 안에서 삼국시대 고구려의 것으로 추정되는 목제 쟁기가 출토됐다며 그 모습을 공개했다. 쟁기는 1500년의 세월이 지났는데도 현재까지 쟁기 형태를 완전하게 갖춘 매우 드문 사례라는 게 박물관 쪽 설명이다. 지난 2020년에도 집수지에서 간단한 구조의 목제 쟁기가 출토된 적은 있으나 이번 것처럼 완전하진 않았다.

대개의 쟁기는 술과, 날부분, 손잡이 등 간단한 구조로 이뤄져 있으나 이번에 출토된 쟁기는 비녀와 분살(사진 참조)이 더해진 독특한 형태를 띤다. 이는 중국이나 일본 등 동아시아 쟁기에선 볼 수 없는 한국만의 형태라고 박물관 쪽은 설명했다. 박물간 쪽은 삼국시대 목제 쟁기의 실물자료가 처음으로 확보됨에 따라 쇠로 만든 보습 위주의 연구에서 나아가 고대 농경사회를 유추할 수 있는 농업기술사 연구에 큰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은 문화재청 허가를 받아 2014년부터 몽촌토성 발굴을 하고 있다. 그 동안 삼국시대 대형 포장도로와 집수지와 집자리 등 중요 시설들이 확인됐다. 집수지는 고구려 점령 기간이던 469∼541년 사이에 축조하고 사용한 것으로 추정된다. 동·식물 유체와 나무 빗, 미화석(기생충알 등 작은 생물체의 흔적) 등이 출토됐고 지난해 4월엔 가장 오래된 고구려 목간이 발견됐다. 조영훈 백제학연구소장은 “집수지의 물이 1500년 동안 마르지 않아 물에 젖은 목제 쟁기가 공기와 직접 접촉하지 않으며 썩지 않고 보존될 수 있었던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한성백제박물관 제공

전종휘 기자 symbio@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10만4천원’에 검찰 자신감…이재명 관용차 혐의 ‘증거 없이’ 추가 1.

‘10만4천원’에 검찰 자신감…이재명 관용차 혐의 ‘증거 없이’ 추가

소나무 뿌리에 송이균 감염시켜 심는 기술로 ‘송이산’ 복원 2.

소나무 뿌리에 송이균 감염시켜 심는 기술로 ‘송이산’ 복원

경북대 교수들 “윤석열, 끌어내릴 것이다”…179명 시국선언 3.

경북대 교수들 “윤석열, 끌어내릴 것이다”…179명 시국선언

경북도, 겨울철 기습적 폭설·한파 대비 5단계 상황 관리한다 4.

경북도, 겨울철 기습적 폭설·한파 대비 5단계 상황 관리한다

7년 전 들었던 그 촛불…광주시민 ‘정권 퇴진’ 다시 외친다 5.

7년 전 들었던 그 촛불…광주시민 ‘정권 퇴진’ 다시 외친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