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현희 국민권익위원장이 26일 서울 종로구 정부서울청사 브리핑실에서 2022년도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발표하고 있다. 권익위원회 제공
지난해 공공기관 종합청렴도 평가에서 장·차관급 중앙행정기관 46개 중 검찰청, 행정안전부, 경찰청 등 16개 기관이 4등급을 받아 등급이 가장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행안부, 외교부, 기상청, 인사혁신처는 공직자와 국민이 평가한 ‘청렴체감도’에서, 검찰청과 여성가족부, 조달청은 반부패 노력 여부를 평가하는 ‘청렴노력도’에서 최하위인 5등급을 받았다.
국민권익위원회는 26일 종로구 정부서울청사에서 지난 1년간 15개 유형, 총 569개 기관을 대상으로 실시한 종합청렴도 평가 결과를 공개했다. 이번 평가는 기존 청렴도 측정에 부패방지 시책평가를 통합한 평가체계를 처음으로 적용했다. 중앙행정기관(46개)·광역자치단체(17개)·기초자치단체(226개)·교육청(17개) 등 행정기관과 공기업 등 공직유관단체(195개) 총 501개 기관의 지난해 종합청렴도 점수는 100점 만점에 평균 81.2점이었다. 종합청렴도 5개 등급 중 1등급 기관은 28개(5.6%)다. 중앙행정기관에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 국무조정실·질병관리청·통계청 4개가 1등급을 받았다. 지방자치단체 중엔 김해시가 유일하게 2년 연속 1등급을 받았다.
종합청렴도는 공직유관단체가 85.7점으로 가장 높았고 국공립대학(75.2점), 공공의료기관(75.9점), 기초자치단체(76.6점) 순으로 점수가 낮았다. 특히 기초자치단체는 권익위 분석 결과 청렴체감도, 청렴노력도 등 모든 영역에서 상대적으로 미흡한 것으로 나타났다. 기초자치단체의 부패경험률은 외부 0.35%, 내부 2.45%로 전체 평균(외부 0.31%, 내부 2.11%)보다 높았다. 또 기초자치단체는 8개 청렴노력도 지표 중 6개가 전체 평균보다 낮았다. 권익위는 “기초자치단체는 반부패·청렴 교육처럼 반드시 필요하고 이행 가능한 지표의 점수 격차가 커 기관 차원의 관심과 노력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손지민 기자
sj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