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북희망원 노사 갈등 일지
노사 중재안 싸고 이견…합의점 못찾고 파행 장기화
노조 “관선이사 요구”…청주시 “시설폐쇄 검토 안해”
노조 “관선이사 요구”…청주시 “시설폐쇄 검토 안해”
사쪽의 시설폐쇄 신고로 촉발된 충북희망원 사태가 노사 간에 합의점을 찾지 못한 채 장기화하고 있다. 노동계는 사쪽의 태도를 비판하고 문제 해결을 위한 적극적인 행동에 나설 뜻을 밝혔다.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충북지역본부는 18일 충북 청주시 청주시청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충북희망원 사용자 쪽이 중재안을 거부함에 따라 사태가 표류하고 있다”며 “중단된 집회를 재개하고 체불임금에 대한 형사상 책임을 묻기 위한 법적 대응에 나서겠다”고 밝혔다.
또 민주노총 충북본부는 “시설장 교체 등 관선이사 파견과 시설폐쇄 사유서 반려를 청주시에 요구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보건복지부는 지난해 12월 민주노동당 곽정숙 의원실에 보낸 질의 답변서에서 “지자체장은 시설폐지 사유가 타당하지 않고 시설을 계속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고 판단되면 관선이사 파견 등 시설의 정상적인 운영을 위한 추가 조처를 할 수 있다”고 밝힌 바 있다.
안병희 공공서비스노조 충북희망원 분회장은 “사쪽에선 문제 해결을 위한 대화에 일체 나서지 않고 있다”며 “모두가 희망원의 정상 운영을 바라는데 원장만 안 된다고 하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김인련 원장의 부인인 사광옥 사무국장은 “노조에서 말하는 중재안에는 사쪽의 의견이 전혀 반영돼 있지 않다. 노조와의 협의 등에서는 아는 바 없다”며 답변을 거부했다. 김 원장은 간담회 참석을 이유로 연락이 닿지 않았다.
노사 양쪽의 불신이 갈수록 깊어지는 가운데 중재에 나선 청주시는 시설의 정상 운영을 위해 최대한 노력한다는 태도다. 이춘숙 여성가족과장은 “현재로선 관선이사 파견이나 시설폐쇄 등에 대해 검토하고 있지 않다”며 “가장 중요한 건 시설에 있는 아동들인 만큼 이달 말을 시한으로 자율적으로 합의를 이루도록 촉구하는 공문을 조만간 보낼 예정”이라고 말했다.
충북희망원은 1948년 1월 설립된 이래 현재 초등학생 32명 등 66명이 생활하고 있다. 희망원 노사는 지난해 6월부터 14차례에 걸쳐 임금·단체협약 협상을 벌였으나 결렬됐다. 비민주적인 운영 개선과 경영정보 공개, 노조 인정 등을 요구하는 노조에 맞서 사쪽은 인신공격과 사실 왜곡이라며 반발하고 있다. 같은 해 10월 사쪽이 청주시에 시설 자진폐쇄를 신고하자 청주시와 민주당 노영민 의원, 노동계가 중재에 나선 바 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