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학벨트 충청권 입지 타당성 보고서 주요 내용
“연구개발 인력·조직·접근성 등 입지조건 월등”
타당성 보고서도 제출
타당성 보고서도 제출
이명박 대통령의 일방적인 대선 공약 파기에 반발해온 충청권 시·도지사들이 정부에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 충청권 조성 요청서’를 냈다. 3개 시·도 발전연구원이 공동 연구한 입지 타당성 결과 보고서도 전달했다.
안희정 충남지사와 이시종 충북지사, 염홍철 대전시장은 20일 교육과학기술부 과학벨트기획단에 요청서를 보내 “공약 이행이라는 국민과의 신뢰 회복으로 공정사회를 구현하고, 막대한 국가재정이 투자되는 사업의 전국적 파급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는 충청권에 과학벨트를 조성해주기를 500만 충청인과 함께 간곡히 요청한다”고 밝혔다. 이들 시·도 지사는 “대한민국의 미래 성장을 이끌어갈 이 사업의 최적 입지는 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충청권”이라고 거듭 주장했다.
시·도 지사들의 요청서와 함께 제출된 ‘충청권 과학벨트 조성 타당성’ 보고서(표 참조)를 보면, 광역권별로 연구개발과 산업의 기반 구축·집적도에서 단연 충청권이 앞서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개발 수행 조직에서 충청권은 인구 1만명당 3.5개로 수도권(3.4)과 대구·경북권(2.0)을 앞섰다. 연구개발 수행 인력 면에서도 충청권(124명)은 수도권(106명)과 대구·경북권(58명)보다 많았다. 연구개발 규모에서는 충청권이 인구 1만명당 80억원으로 20억원과 10억원에 그친 수도권과 대구·경북권보다 4~8배 많았다. 논문 생산 수는 충청권이 대구·경북권의 3배, 특허 출원 수는 9배에 이른다.
특히 행정중심복합도시(세종시)를 중심으로 한 지역은 대덕연구단지의 과학기술 공동체가 잘 형성돼 있고, 교육·의료·문화 등에서 탁월한 입지 환경을 지닌 것으로 거듭 확인됐다. 김기식 충남도 기획관리실장은 “객관적 연구분석을 통한 결과를 제시함으로써 과학벨트 충청권 입지의 당위성을 입증하는 근거가 마련된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과학비즈니스벨트위원회(위원장 이주호 교과부 장관)는 평가 작업을 거쳐, 이르면 5월 말께 예정 터를 확정·발표할 계획이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