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남 지역 버스업체 경영 상황
“승객 줄고 기름값 껑충…이러다 다 망할판”
1년새 경유 당 400여원 인상…재정 지원은 되레 삭감
노선 감축
1년새 경유 당 400여원 인상…재정 지원은 되레 삭감
노선 감축
“참 마음 아픈 대목인디유. 기름값 아끼려고 한여름·한겨울 종점에 정차할 때 시동도 꺼봤어유. 그러면 승객들이 서비스 엉망이라구 뭐라구 하지유. 그렇게 욕먹어가면서 절감두 해봤는디 안 되더라구유.”
충남 부여군의 농어촌버스 업체인 부여여객 박종관 총무과장은 걱정이 태산이다. 기름값이 1년 전보다 ℓ당 400원 넘게 올랐지만 정부 보조금은 그야말로 ‘쥐꼬리’다. 하루 38대의 버스가 운행하고 운전기사 58명이 일하고 있지만, 다달이 인건비 대기도 벅차다. “글로벌시대라면서 경쟁력 어쩌구 하는디, 부여에 우리 회사 하나거든유. 경쟁 업체가 어딨어유. 들어왔다간 다 같이 망하는 길인디.”
충남 지역의 시외·시내·농어촌버스 업체들이 천정부지로 치솟는 기름값에다 승객 감소로 파산 위기에 몰리고 있다. 이들 업체는 현상황이 이어지면 결국 노선과 운행 편수를 줄일 수밖에 없다며 현실적인 대책 마련을 요구하고 나섰다.
17일 충남버스운송사업조합과 충남도의 설명을 종합하면, 2009년 말 기준으로 도내 23개 버스업체의 총부채는 1148억여원이다. 이런 재정 악화 때문에 체불임금이 28억원, 퇴직금 미적립액이 592억원에 이른다. 도내에는 1914대의 버스가 2301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으며, 하루 평균 승객은 35만여명이다.
버스업체의 재정 악화를 부른 주범은 무엇보다 기름값의 급격한 상승이다. 지난해 2월 경유의 ℓ당 가격은 1310원이었지만 불과 1년 새 가격이 1744원으로 33%(434원)나 올랐다. 또 농어촌 인구가 줄곧 내리막길을 타면서 해마다 운송 수입이 8% 가까이 급감하고 있다. 여기에 2009년까지 받았던 도 재정지원금과 신규 차량 구입비 28억원이 삭감되면서 경영난을 더하고 있다.
버스 대수가 충남의 절반 수준인 대전의 경우 준공영제 시행으로 지난해 390억원을 지원받았지만 충남은 167억원에 그쳤다. 특히 군 단위 지역을 운행하는 농어촌버스 업체는 자산보다 부채가 24억원 많아 자본잠식 상태다.
하지만 일선 버스업체들은 경영수지 개선을 위해 노선 감축이나 운행 중단, 요금 인상을 할 수도 없다. 마땅한 교통수단이 없는 주민들에게 버스가 유일한 ‘발’ 노릇을 하는데다 정부가 물가 억제를 위해 버스요금 인상을 막기 때문이다. 이런 까닭에 시외·시내버스의 경우 338곳(전체 노선의 17%)에 이르는 비수익 노선을 그대로 떠안고 있는 형편이다.
견디다 못한 버스업체 대표들은 이날 오후 대전 선화동 충남도청에서 안희정 지사를 만나 간담회를 열었다. 이들은 “도내 버스 운행이 교통약자인 서민의 기초생활을 위한 최소한의 복지 수단”이라며 “정부든 민간이든 누군가는 꼭 담당해야 할 분야이므로 시내·외, 농어촌버스가 안정적으로 운행될 수 있도록 대책을 마련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들은 재정보조금 확대, 노선 운행 감축·중단과 요금 인상에 대한 신고제 전환, 면세유 제공 등을 건의했다.
안희정 지사는 “제도 개선의 폭과 재정계획을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도는 버스업체들의 요구사항을 적극 검토해 관련 부처에 건의하기로 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안희정 지사는 “제도 개선의 폭과 재정계획을 고민중”이라고 밝혔다. 도는 버스업체들의 요구사항을 적극 검토해 관련 부처에 건의하기로 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