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원장, 책임 회피·노동자 고소 등 비인간적 처사”
키스티, 여야 국회의원 ‘국외 연수비’ 지원도 밝혀져
키스티, 여야 국회의원 ‘국외 연수비’ 지원도 밝혀져
노동조합 가입 뒤 직장을 잃자 여섯달 넘게 복직을 요구하고 있는 대전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KISTI·키스티) 비정규 노동자들이 무기한 거리 농성에 나섰다.
공공연구노동조합과 키스티 분회 조합원들은 5일 오전 대전 유성구 궁동네거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박영서 키스티 원장이 해고 노동자들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고 고소·고발과 출입금지 가처분 신청까지 하면서 노동자들을 압박하고 있다”며 해고 노동자 전원 복직과 비정규직 차별 철폐를 요구했다. 이광오 공공연구노조 정책국장은 “키스티는 한달 80만~90만원의 실업급여로 지내고 있는 해고 노동자 5명과 공공노조가 명예훼손을 했다며 법원에 2400만원의 간접강제금까지 신청했다”며 “노동자들의 정당한 권리 요구를 돈으로 압박하는 비인간적인 처사가 아닐 수 없다”고 주장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공공연구노조는 국회 교육과학기술위원회의 여야 의원 2명이 지난해 7월 키스티와 또다른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지원을 받아 6박8일 일정으로 스위스·오스트리아·프랑스에 국외연수를 다녀왔다는 사실도 공개했다. 당시 연수에는 교육과학기술부 직원 1명과 두 연구기관에서 3명이 동행했으며, 비용은 3000만원가량 든 것으로 알려졌다. 공공연구노조는 “국회의원이 국정감사 피감기관으로부터 국외연수 비용을 제공받는 것은 대단히 부적절한 행위”라고 비판했다.
당시 연수를 다녀온 한 의원은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당연히 국회 예산으로 가는 줄 알았으며, 교과부나 연구기관 비용이었다면 국회의원으로서 잘못한 일”이라고 말했다. 키스티 쪽은 “예산을 지원한 것은 맞지만, 로비성 국외연수라는 노조의 주장은 말도 안 된다”며 “의원들이 선진 연구기관을 견학하고 정보를 얻는 연수의 하나일 뿐”이라고 해명했다. 키스티는 해고 노동자들에 대해서도 용역업체와 노동자들 사이의 근로계약 문제이기 때문에 연구원이 개입할 수 없다는 태도다.
키스티에서 전기·기계설비 관리 일을 하던 비정규직 노동자 13명은 지난해 10월 노조를 결성했으며, 지난 1월31일 설 연휴를 앞두고 8명이 한꺼번에 일자리를 잃었다. 이들 가운데 5명은 지난 2월7일부터 원직 복직을 요구하며 연구원 앞에서 천막농성을 벌여왔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