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자료 공개거부 등 맞서 교수회 등 “명예회복” 촉구
충남 논산 건양대(총장 김희수)의 한 교수가 교내에서 스스로 목숨을 끊은 원인을 두고 유족과 학교 쪽이 여섯달가량 맞서고 있는 가운데(<한겨레> 4월8일치 12면) 교수단체에서 해당 교수의 명예회복과 문제해결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국교수노동조합과 민주화를 위한 전국교수협의회 대전·충남지부는 지난 25일 성명서를 내어 “지난 3월7일 투신한 조아무개(40) 교수의 유족은 규정과 원칙 없이 전공교수를 교양학부로 이동하려 한 부당인사에 의한 스트레스를 (자살) 원인으로 보고 수차례에 걸쳐 대학 쪽에 관련 규정과 인사자료 공개를 요구해왔다”며 “그러나 학교는 유족의 슬픔을 위로하기는커녕 무성의한 답변과 무시, 접견 거부로 유족의 고통을 심화시켜왔다”고 지적했다. 또 이들 단체는 “진상 규명을 위한 유족의 활동에 대해 ‘민형사상의 법적 조치를 강구할 수도’라고 운운한 것은 유족에 대한 결례를 넘어 협박이라고밖에 보이지 않는다”며 “건양대는 실추된 고인의 명예 회복과 유족에게 입힌 정신적 고통에 대한 사과, 관련 자료의 공개 등에 적극 나서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숨진 조 교수의 부인 왕아무개(35)씨는 29일 <한겨레>와의 통화에서 “학교 쪽에서는 연락을 주겠다는 말만 하고 몇달째 차일피일 책임 있는 답변을 피하고 있어 정말 너무한다는 생각이 든다”며 “학교에서 남편의 명예를 훼손한 것을 공개적으로 사과하고 산재 처리를 해주기를 바랄 뿐”이라고 말했다.
그동안 유족은 “일부 언론에서 조 교수의 자살 원인에 대해 학교 쪽의 설명을 빌려 우울증인 것처럼 보도했지만 이는 사실이 아니다”라며 “조 교수는 지난 2월 학교 쪽으로부터 교양학부로 옮겨 컴퓨터 관련 강의를 하는 게 어떻겠느냐는 ‘사실상의 인사 통보’를 받아 자존감에 심한 상처를 입은 뒤 자살이라는 선택을 하게 된 것”이라며 반발해왔다. 유족은 학교 쪽에 수차례 내용증명과 정보공개 청구를 통해 조 교수의 인사 관련 자료를 요구했지만, 학교는 이를 받아들이지 않고 있다.
건양대는 지난달 부인 왕씨에게 공문을 보내 “(조 교수의) 교양학부로의 이동 여부에 대한 논의는 관련 규정에 따라 당사자와 협의를 시작하였던 것”이라며 “산재 인정 여부 등은 법원의 소송 등 공식적인 법적 절차를 통해 판단되어야 한다”고 밝혔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