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 입학생부터 적용 방침
학생들 “말도 안돼” 반발
학교쪽 “최종결정 아니다”
학생들 “말도 안돼” 반발
학교쪽 “최종결정 아니다”
대전 카이스트(KAIST) 학생들이 학교의 영어강의 완화 축소 방침에 강하게 반발하고 있다. 서남표 총장과 교수협의회의 갈등이 깊어지는 가운데 학생들까지 학교와 부딪치는 상황이다.
28일 카이스트와 학생들의 설명을 종합하면, 교과과정심의위원회(위원장 이균민 교무처장)는 지난 23일 ‘인문사회 선택과목의 영어강의 최소 이수요건 폐지’와 관련해 올해 입학생(2011학번)부터 적용하는 방안을 마련해 서 총장에게 제출했다.
카이스트에서는 2007학년도부터 인문사회 선택과목의 최소 이수요건인 21학점 가운데 18학점 이상을 영어강의 과목으로 수강하도록 돼 있다. 카이스트 혁신비상위원회는 지난 7월 ‘전면적인 영어강의가 인문사회 교육에 장애 요인이 될 수 있고 일부 신입생들의 경우 적응에 어려움이 있다’며 제도 개선을 학교 쪽에 요구한 바 있다. 학교 쪽은 이 제도를 모든 학부생이 아니라 1학년만을 대상으로 축소하려는 것이다.
이에 대해 학부 총학생회는 27일 교내 인터넷게시판에 글을 올려 “정말 말도 안 되는 논리다. 이번 학기에 제도 폐지를 기대하고 학생들이 한국어강의를 많이 신청했다”며 “학교에 방침 철회를 요구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이미 영어과목을 이수한 사람들에 대한 형평성에 문제가 생긴다’는 학교 쪽 설명에 대해 학부 총학생회는 “한국어강의가 영어강의에 비해 우위에 있다는 것을 전제로 한 것으로, 이런 논리는 영어강의가 제대로 되지 않고 있다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제도는 원래 새 학번부터 적용시키는 것이 원칙’이라는 논리에는 “이미 (차등)등록금 제도 폐지가 모든 학생에게 소급 적용됐다”며 “졸업시에 선택권을 준다면 문제가 없다”고 반박했다. 또 ‘혁신비상위에서 적용 대상에 대한 결정은 하지 않았다’는 부분에 대해서는 “위원회 내에선 전체에게 적용하는 것이 당연한 것으로 여겨졌다”고 지적했다.
학교 쪽은 “아직 서 총장의 승인이 나지 않았기 때문에 최종 결정된 것은 아니다”라고 밝혔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