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 1조7천억원 투자하기로
1조원 넘는 민간자본 유치 관건
1조원 넘는 민간자본 유치 관건
그동안 다른 곳에 견줘 낙후됐던 충남 5개 군이 정부의 신발전지역으로 지정돼, 도내 균형발전의 바탕이 마련됐다. 그러나 1조원이 넘는 민간자본 유치가 만만치 않은 과제여서 도와 시·군의 행정력이 사업 성공의 관건이 될 것으로 보인다.
충남도는 지난 15일 열린 국토해양부 국토정책위원회에서 금산·청양 등 5개 군(60.8㎢)을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계획이 의결됐다고 16일 밝혔다. 2020년까지 12개 사업에 민간자본 1조5138억원을 포함해 모두 1조7804억원이 투자될 계획이며, 이는 애초 충남도가 지난해 12월 정부에 신청한 31개 사업(3025㎢)보다 크게 줄어든 규모다.
종합발전계획(안) 가운데 개발사업은 2곳에서 이뤄진다.(표 참조) 금산군 남이면 성곡리 23만여㎡ 터에 기업연수원과 스파빌리지, 한방힐링센터(박물관) 등이 들어서게 된다. 흔히 개삼터로 일컬어지는 이곳은 1500여년 전에 고려인삼이 처음 재배된 것으로 알려졌다. 청양군 친환경 레포츠타운은 청양읍 군량리 고운식물원 인근에 눈썰매장, 줄을 이용해 계곡을 건너는 스카이슬라이드·지프라인 등이 만들어진다. 주변 자연환경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관광지를 꾸미는 게 특징이다.
입주 기업 지원은 모두 10곳에서 진행된다. 서천 김가공 농공단지와 예산 일반산업단지 2곳, 청양 운곡2농공단지 등이다. 관광지로는 부여(서동요 역사관광지)와 서천(금강하굿둑, 춘장대 해수욕장, 홍원항), 예산(덕산온천)이 대상지로 선정됐다. 정부와 충남도는 원활한 개발을 위해 사업 시행자와 입주 기업에 국세와 지방세를 감면하고, 사업기간 단축을 위한 제도 지원도 할 참이다. 또 입주 기업에 용지 매입비 융자, 토지 임대료 감면 등의 자금 지원도 이뤄진다.
그러나 이미 종합발전구역으로 지정된 다른 지역의 사정은 그리 녹록지 않다. 2008년 최초 지정 뒤 지난 5월 계획이 모두 변경고시된 전남 서남권을 비롯해 지난해 4월 종합발전구역이 된 경북 백두대간권 등 4곳도 지금까지 뚜렷한 개발 성과가 없는 형편이다. 도는 이런 점을 고려해 실현 가능성이 큰 사업 위주로 개발계획을 마련했으며, 민간자본 유치를 위해 최선을 다한다는 태도다. 정년옥 도 건설정책과 주무관은 “이번에 지정된 곳이 대부분 올해 말 도청이 이전하는 내포신도시 주변지역인데다 인근 광역교통망도 계속 확충되는 등 개발여건이 개선되고 있는 점을 홍보하고 있다”며 “관련 조례를 개정해 세제 지원에 나서고 입주 지원금도 적극 활용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 “1억 받은 은진수보다 정봉주가 더 나쁘냐”
■ MB 장남 이시형 출국금지…큰형은 어제 돌연 출국
■ 배신이 낳은 폭로와 자살…충북판 ‘더러운 공천전쟁’
■ “고객돈으로 부유층 자녀 지원”-“사회공헌” 외환은행, 하나고 250억 출연 논란
■ 중간고사 문제를 학생이 미리 풀고 있더니…
■ 니가 고생이다 아빠를 잘못 만나서
■ [화보] 청군 이겨라! 백군 이겨라!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