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퇴이유 ‘학교 부적응’ 최다
폭력도 1년새 28%나 늘어나
“교육청 대책마련 서둘러야”
폭력도 1년새 28%나 늘어나
“교육청 대책마련 서둘러야”
대전·충남 지역의 고교생 자퇴율과 학교폭력이 다른 곳에 견줘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교육청의 적극적인 대책 마련이 절실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 충남 고교생 자퇴율 1위 22일 유기홍 민주통합당 의원이 교육과학기술부로부터 받은 자료를 보면, 충남 일반계고 학생의 자퇴율이 2008~2011년 4년간 전국에서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그래픽) 대전 또한 16개 시·도 가운데 여섯번째로 자퇴율이 높았다. 2008년 696명(1.3%)이었던 충남 일반계고 학생의 자퇴율은 지난해 882명(1.51%)으로 늘었다. 대전은 712명(2008년)에서 650명(2011년)으로 조금 줄었지만 자퇴율(1.26%)은 여전히 전국 평균 1.12%보다 높았다.
4년간 자퇴한 충남 고교생 882명의 학업 중단 원인은 ‘부적응’이 291명(32.9%)으로 가장 많았다. 대전에서는 650명 가운데 209명이 학교 부적응을 호소했다. 유 의원은 “충남의 자퇴율이 높은 데에는 고교 비평준화 지역이라는 특수성이 반영돼 있다”며 “학력을 강조하는 풍토를 개선하지 않으면 자퇴율은 개선되지 않을 것”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교육청에 학업중단 심사숙려제의 도입을 제안했다.
■ 학교폭력은 급증·집단화 이상민 민주통합당 의원이 이날 내놓은 자료를 보면, 대전 지역 초·중·고의 학교폭력 건수가 2010년 189건에서 지난해 371건으로 96.5% 폭증했다. 충남도 2010년 143건에서 지난해 183건으로 27.9% 늘었다. 반면 전국 평균은 같은 기간 4.8% 줄어 대조를 보였다. 특히 발생 건수에 견줘 가해 학생 수가 더 크게 늘어 집단폭력화 경향을 보였다. 대전에서 2010년 262명이던 가해 학생 수는 지난해 868명, 충남은 317명에서 818명으로 각각 2.6배 늘었다.
그러나 대전·충남 교육청은 학교폭력 서클을 제대로 파악조차 못하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지난 8월 기준 대전교육청은 단 한개도 파악을 못했으며, 충남교육청은 중학교 2곳과 고교 1곳으로 교과부에 보고했다. 반면 경찰청 자료에서는 대전 9개 137명, 충남은 36개 927명으로 확인됐다. 이 의원은 “학교폭력이 갈수록 느는데다 집단화·흉포화하고 있다는 것이 큰 문제”라며 김종성 충남교육감에게 시급히 대책을 마련하라고 요구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한겨레 인기기사>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 최필립 “물러날 뜻 없다” 완강…‘박근혜 해법’ 원점으로
■ 박근혜 “정수장학회 강압 없었다”→“인정 안했다” 실언 연발
■ 포스코 ‘동반성장 우수’ 받으려 서류조작?
■ 청와대, 이시형씨가 낼 땅값 줄이려 집주인에 “공유필지 값 낮춰라” 요구
■ ‘민간사찰’ 총리실 지원관실 요구로 4대강 인터뷰 연구위원 징계받았다
■ 야근은 밥먹듯, 월급은 띄엄띄엄…“욕만 나와” “너도 그래?”
■ 똥을 흙에 파묻는 고양이, 깔끔해서 그럴까?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