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고포상금 1억원 내걸고
불법유통 자율감시단 꾸려
식약처엔 처벌강화 건의문
불법유통 자율감시단 꾸려
식약처엔 처벌강화 건의문
“몇 년 전에 인삼 제품을 구입한 사람들은 물론 오스트레일리아 한인들한테서도 업체나 군청으로 전화가 옵니다. 자신들이 구입한 게 진짜 금산인삼 맞냐는 거죠.”
인삼 관련 제조업체가 400여곳에 이를 만큼 한국을 대표하는 인삼 주산지인 충남 금산군이 요즘 ‘가짜 인삼’과의 전쟁에 나섰다. 신고 포상금 1억원을 내거는가 하면 시민단체들은 자율감시단까지 꾸렸다.
23일 충남 금산군과 금산군의회, 금산군 인삼약초단체 연합회는 식품의약품안전처 등에 부정 인삼 유통자에 대한 처벌을 강화해달라는 건의문을 냈다. 2~3년마다 반복되는 가짜 인삼 파동 때문에 선량한 인삼산업 종사자들이 큰 피해를 보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올해 초에는 중국산 물엿과 옥수수 전분 등을 섞은 농축액을 산양산삼이라고 속여 1톤가량 유통한 일당이 경찰에 붙잡혔다. 지난달에는 중국산 홍삼 원액을 국내산으로 속여 200억원어치를 판매한 지역 업체가 적발되기도 했다.
최근 금산군은 부정 인삼을 제조하거나 유통하는 업체에 대해 군민 집단소송을 벌이겠다는 방침을 내놨다. 부정 인삼 신고자에게는 포상금을 최고 1억원까지 지급하고, 해당 업체에 대해서는 지원 보조금을 모두 회수하는 등의 특별대책도 발표했다. 군의회는 22일 신뢰받는 금산 인삼약초 시장을 만들기 위해 상설 단속기구 설치를 뼈대로 하는 성명서를 의결했다.
지역 시민단체들도 팔을 걷어붙이고 나섰다. 금산참여연대를 비롯한 시민단체 3곳은 22일 불법인삼 유통 자율감시단을 꾸렸다. 이들은 외국인삼 유통, 관광버스를 이용한 호객행위 등 불법영업, 인삼 가공·수입 업체에 대한 순찰과 위반 업체에 대한 고발 등 적극적인 활동에 나설 참이다. 최병조 금산참여연대 사무국장은 “이런 사건이 계속 일어나는 건 행정기관의 소극적인 대응도 문제인 만큼 적극적인 활동을 촉구하고 제대로 직무를 수행하는지도 감시하겠다”고 말했다.
금산에서는 2009년 9월부터 군의 엄격한 시설·품질 관리 검사를 거쳐 인증받은 업체들이 모인 공동 브랜드 ‘금홍’을 사용하고 있다. 금홍 브랜드를 단 업체는 19곳이며, 최근 문제가 된 제품들은 금홍과 아무런 관계가 없다. 이날 오후 금산인삼관 앞마당에서는 중국 푸젠성 남부 샤먼으로 수출하는 금홍 제품 10만달러어치가 컨테이너에 실려 부산항으로 출발했다. 올해 들어 첫 외국 수출이다. 금홍 판매법인 김주한 이사는 “올해 말까지 중국에 300만달러어치 금홍 제품을 수출할 예정이다. 금홍과 무관한 일부 업체들 때문에 홍삼 메카인 금산의 위상이 추락하고 있지만, 금홍 제품은 철저한 관리를 통해 생산·유통된다”고 말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