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시 계획에 시민단체 반발
“1일 수요 2천명뿐…환경훼손도”
저비용 셔틀버스 등 대안 제시
“1일 수요 2천명뿐…환경훼손도”
저비용 셔틀버스 등 대안 제시
대전시가 보문산 일대에 관광전차(트램)를 설치하는 것을 뼈대로 하는 개발계획을 내놓자마자 지역 시민사회단체들의 반발에 부닥쳤다.
대전시는 28일 중구 사정동 오월드와 보문산오거리를 잇는 5.7㎞ 구간에 관광전차를 설치하는 것을 중심으로 체류형 종합관광단지로 개발하는 ‘보문산권 종합관광개발 기본계획’을 내놨다. 이를 보면, 보문산권을 대사·행평·사정·보문산성 등 6개 공원권으로 나눈 뒤 박물관·스포츠단지·건강체험시설 등 10개 사업을 내년부터 2017년까지 1480억원을 들여 추진하겠다는 것이다.(표) 대전시 쪽은 “서구 둔산동과 유성구의 개발로 원도심이 약화되면서 보문산의 활기가 침체됐다. 보문산을 종합관광지로 개발해 시민 여가공간 마련은 물론 전국적인 명소로 발전시키겠다”고 밝혔다.
하지만 시의 이런 계획이 알려지자 곧바로 시민사회단체들은 반대 뜻을 나타냈다. 12개 단체로 구성된 대전시민사회단체연대회의는 30일 “환경훼손과 혈세낭비 보문산 트램 설치 전면 재검토하라”는 성명서를 냈다. 이들은 “하루 수요가 2000여명에 불과한데 이곳에 270억원을 들여 관광전차를 설치한다면 수십억원의 운영비 부담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또 “관광전차 설치 예정 구간이 산악지형의 굴곡진 임도이고 최소 경사도 10% 이상의 지형 특성을 가지고 있다. 전차 운행을 위한 최소 회전반경 확보에 따른 환경훼손 문제도 크다”고 지적했다. 시민단체들은 저렴한 비용으로 운행이 가능한 셔틀버스 등 다른 대안을 요구하고 있다.
대전시민단체연대회의는 “보문산권 개발계획의 재원 조달 가능성에 대해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오고 있다. 최종 결정 이전에 입지 적합성 전반에 대한 검토뿐 아니라 수익성 등에 대한 꼼꼼한 검토가 전제돼야 한다”고 주문했다. 대전시는 2009년 아쿠아월드 개발계획 당시 연간 관람객 80만명, 생산파급효과 1200억원, 고용창출효과 3000여명이라는 대전발전연구원의 연구용역 결과를 앞세워 사업을 추진했다. 그러나 아쿠아월드는 개장 1년 만인 지난해 2월 운영난으로 문을 닫은 상태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