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전경실련 ‘학교안전 토론회’
초등생·부모·교사 444명 설문
학생이 안전주도 ‘또래조정’ 눈길
초등생·부모·교사 444명 설문
학생이 안전주도 ‘또래조정’ 눈길
학교 안팎의 범죄를 예방하려면 주변 공간과 학생들의 행동을 분석한 통합 정책이 필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특히 학생들이 스스로 조정자가 돼 갈등을 해결하는 ‘또래 조정 프로그램’ 등이 주목받고 있다.
대전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 도시개혁센터는 21일 대전시 선화동 옛 충남도청 대회의실에서 ‘도시 미래를 위한 학교 안전’ 토론회를 열었다. 이형복 대전발전연구원 도시안전디자인센터장이 발표한 ‘학교 안전 실태와 개선 방안’을 보면, 초등학생의 등·하교 시간은 10분 안쪽이 70%로 가장 많았고 혼자 다니는 경우(25%)보다 두세명씩 짝을 지어 오가는 학생(66%)이 다수였다. 설문조사는 지난 5월18~21일 대전 노은동 초등학교 4곳의 학생·학부모·교사 등 444명을 대상으로 이뤄졌다.
학생들의 등·학교 시간이 짧고 대개 두세명씩 짝을 이뤄 다니지만 학부모 가운데 절반은 하교 시간을 학교 범죄가 이뤄지는 시간으로 꼽았다. 범죄 발생 장소도 학교 인근 골목길을 지목한 경우가 52%로 가장 많아 하교 시간 학교 주변 골목길에 대한 범죄 예방활동이 절실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학교 보안관 제도나 안전 지킴이 프로그램에 대해 ‘알고 있다’고 답한 학부모는 25%에 그쳤다.
교사들의 응답을 보면 학교 안전을 위한 교내 교육이 여전히 미흡한 것으로 분석됐다. 범죄 예방을 위한 안전 교육 방식 가운데 시청각 매체 활용이 69%로 가장 높은 데 견줘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를 이끌어낼 수 있는 체험 활동은 6%에 머물렀고 토론 형식은 0%였다. 교사들은 안전 교육이 어려운 이유로 ‘시간 부족’(58%), ‘적당한 교재·프로그램 미비’(36%)를 들었다.
설문조사 결과처럼 학교 안전 여건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는 상황에서 주목받는 게 ‘또래 조정 프로그램’이다. 2011년 경기도교육청을 시작으로 전국에 시범 도입됐으며, 대전시교육청은 초중고 모든 학교에 또래 조정 프로그램 예산을 지원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토론·대화 등으로 갈등의 쟁점을 분명히 한 뒤 문제 해결과 합의에 이르는 과정 모두를 학생이 주도하는 프로그램이다. 학생이 또래 조정자로 나서 또래를 더 잘 이해하고, 문제 해결의 과정 또한 나이에 맞도록 진행하며, 갈등 당사자들을 존중해 조정 효과가 큰 장점이 있다. 교육부·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이 지난해 벌인 설문조사에서 학생 응답자의 92%, 교사 응답자의 98%가 또래 조정 프로그램이 학교폭력 예방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고 답했다.
이형복 센터장은 “경비 인력 활용은 안전 취약 시간이나 넓은 공간을 감시하는 데 한계가 있고, 범죄 예방을 위한 환경 설계는 국내 실정과 거리가 있다. 세분화된 공간 분석을 통한 예방 방안 마련, 학생 행동패턴 분석을 통한 대응 방안 수립, 정보기술(IT) 융합을 통한 체계 구축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