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진 대청호 오백리길 모니터링단
환경단체, 21개 구간 현장답사
인도·표지판 없고 쓰레기 방치
“재정비하고 관리해야” 지적
인도·표지판 없고 쓰레기 방치
“재정비하고 관리해야” 지적
세금 70여억원을 들여 정비한 대청호 주변 길들에 대한 관리 부실이 심각한 것으로 드러났다. 특히 지난해 나라 안팎에서 지역 협력, 환경과의 조화 등이 인정돼 큰 상을 받을 만큼 경관이 뛰어난 곳이어서 보완 대책이 시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22일 대청호보전운동본부와 대전환경운동연합이 지난 3월부터 이달까지 매주 대청호 오백리길 21개 구간을 현장답사했더니 인도가 끊겨 차도로 위험하게 걸어야 하는데도 안내표지판이 없고, 구간 자체가 유실돼 찾을 수 없거나 이정표·방향표지판이 잘못된 곳이 적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정비 사업이 마무리된 4월30일 이후에는 관리 자체가 이뤄지지 않았으며, 주변 마을 주민들에게도 오백리길이 제대로 알려지지 않은 탓에 농작물 훼손과 쓰레기 문제로 탐방객과 마찰이 일고 있었다. 구간별 현장조사 결과를 보면, 2구간(10㎞) 이현동~찬샘마을 산길은 인도가 없어 차도로 걸어야 할 만큼 관리가 되지 않았고, 3구간(12㎞)은 산불·큰비로 쓰러진 나무가 방치돼 있었으며 밤·대추 등을 두고 주민과 갈등이 반복되고 있었다. 6구간(16.5㎞)에는 곳곳에 쓰레기가 널려 있고, 10구간(9.5㎞)에서는 길 시작점이 공사 때문에 달라졌는데도 이정표가 수풀에 가려 있는 등 전혀 관리가 이뤄지지 않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사진) 12구간(14㎞)에서는 곳곳에 방향표지판이 잘못 설치돼 있거나 이정표 또한 애매하게 놓여 있어 길을 찾기 어려웠다.
이런 결과는 이날 대전 선화동 대전발전연구원(옛 충남도의회)에서 열린 토론회에서 발표됐다. 현장조사를 한 대청호보전운동본부와 대전환경운동연합은 △길 안내판 재정비 △차도 구간에 대한 안전 점검과 홍보자료 제작 △기존에 만들어진 지역별 특화 길과 연계 방안 마련 △쓰레기 처리 대책 등을 제안했다. 이경호 대전환경운동연합 정책국장은 “사업 시작 때부터 사후 관리에 대한 고민 없이 진행된 탓에 지금은 관리 주체가 없다는 게 문제다. 오백리길 주변 주민들이 주체가 돼 관리와 해설 등을 맡고 해당 지자체에서 지원을 하는 것이 바람직한 대안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대전시와 충북 옥천·영동·보은·청원 등을 아우르는 대청호 오백리길 사업에는 2010년 7월부터 올해 4월30일까지 대전시·충북도·충남도·공주시가 참여했으며 예산 74억원을 들여 200여㎞에 안내·편의시설 등을 설치했다. 지난해 지역 협력 모범사례로 선정돼 지식경제부장관상을 받았으며, 유엔 인간주거계획(해비타트)이 주관한 ‘아시아 도시경관상’도 수상했다.
전진식 기자 seek16@hani.co.kr, 사진 대청호 오백리길 모니터링단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