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9월부터 2천대 도입
자전거가 레저용을 넘어 생활교통수단으로 자리잡을 수 있을까? 서울시는 내년 9월부터 4대문 안과 여의도·상암동·신촌·성수 등 5대 거점에 공공자전거 2천대를 도입하겠다고 18일 밝혔다. 여의도와 상암동에서 실시해온 시범사업의 성과와 한계를 바탕 삼아 공공자전거를 ‘시민의 발’로 점차적으로 늘려 나가겠다는 구상이다.
서울시는 이를 위해 5대 거점 지역에 공공자전거 정류장을 150개 이상 설치할 계획이다. 지하철역과 버스정류장 등 대중교통 환승 지점, 관공서와 주택단지, 학교 등 생활권 통행 지점에 정류장을 촘촘히 배치해 자전거를 단절 없이 이용할 수 있도록 한다는 것이다. 전용 거치대를 만들고 전자시스템 장착 등으로 무게가 나가는 고유 자전거를 비치했던 시범사업과 달리, 일반 거치대에 간단한 단말기를 탑재한 상용 자전거를 갖추고, 스마트폰 전용앱을 통해 빌리고 반납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이렇게 할 경우 전체 구축비용이 시범사업에 견줘 절반가량 절감된다고 서울시는 설명했다. 13살 이상 시민이 이용할 수 있는데, 요금은 무료로 시작해 시범사업 수준(연회비 3만원, 1시간 이상 이용 시 30분당 1천원)으로 책정할 방침이다.
자전거를 편하게 탈 수 있도록 인프라도 구축하기로 했다. 우정국로와 청계천로, 천호대로, 마포대로 등에 자전거 우선도로를 만들고, 양화로에는 인도와 갓길, 노면주차 공간 사이에 자전거길을 두는 ‘포켓주차형 자전거 전용차로’를 도입한다.
시범사업의 한계를 극복하는 게 관건이다. 여의도·상암동 일대에 28억원을 들여 정류장 44곳을 설치해 공공자전거 378대를 운영한 결과, 2010년 11월부터 현재까지 회원수 1만6천명, 하루 평균 이용 횟수 551건으로, 회전율이 1.4회에 그쳤다. 서울시는 “기대에 미치지 못했으나, 평일 출퇴근 시간대 이용률이 30%로 나타나는 등 생활교통수단으로의 가능성을 보였다”고 평가했다.
서울의 자전거 보급 대수는 146만대로 2.4가구당 1대꼴이다. 그러나 자전거의 교통분담률은 1.3%에 불과하다. 김경호 서울시 도시교통본부장은 서울을 “자동차 중독 도시”라고 표현했다. 서울시는 공공자전거를 2017년까지 1만대, 2020년까지 2만대로 늘려 서울 전역의 네트워크를 완성하겠다고 밝혔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