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일 부산신항 한진해운 부두에서 한진해운 소속 마르호(5만t급)에 실린 컨테이너 하역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4일 오후 5시께 부산신항 한진해운 부두에는 한진해운 마르호(5만t급)가 정박해 있었다. 마르호 위쪽에 뻗어 있는 높이 45m 대형 크레인이 경고음과 함께 선박에 실린 컨테이너를 들어올려 부두 안쪽으로 날랐다. 옮겨진 컨테이너는 형광조끼를 입은 작업자의 지시에 따라 대형 트럭(야드 트랙터)에 곧바로 실렸다.
컨테이너를 실은 대형 트럭은 부두 뒤쪽 장치장으로 컨테이너를 쉴 틈 없이 옮겼다. 장치장에 있는 높이 30m ‘야드 크레인’은 옮겨진 컨테이너를 정리해 쌓아두는 작업을 이어갔다.
한진해운 소속 작업자는 “마르호에 실린 컨테이너 1663개 하역 작업을 마친 뒤 한진해운 저머니호(11만4천t급)의 컨테이너 1142개를 처리한다. 이 작업이 끝나면 선박들은 항만 근처 묘박지(선박이 계류·정박하는 곳)로 이동해 대기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는 “평소에 한진해운 선박은 일주일치 하역 작업 일정이 잡혀 있지만, 마르호와 저머니호를 끝으로 한진해운 선박 하역 작업 일정이 없다. 그나마 컨테이너를 선박에 고정하는 고박업체가 작업을 재개해줘서 하역을 할 수 있게 됐다”고 덧붙였다.
한진해운이 지난달 31일 회생절차 개시 신청서를 법원에 내자 위기감을 느낀 고박업체 세 곳은 지난 1일 0시부터 한진해운 선박의 작업을 거부했다. 지난달 31일 부산신항에 입항한 한진저머니호의 하역 작업은 중단됐다. 고박업체는 못 받은 대금 16억여원 가운데 오는 7일 줘야 하는 항운노조원 임금 5억5천만원이라도 지급할 것을 요구했다.
부산항만공사가 1일 이후 발생하는 고박 대금의 지급보증에 나섰지만, 이들 업체는 한진해운의 해결책을 요구하며 작업을 계속 거부했다. 하역 작업이 멈추자 화물수송 대행업체 등은 다른 배를 찾느라 혼란을 겪었다. 부산신항 한진해운 선박의 물류가 모두 정지된 것이다. 부산지방해양수산청, 부산항만공사, 관련 업체들이 지난 2일 대책회의를 열어 밀린 대금을 지급하기로 하면서 이들 업체는 다시 작업을 시작했다.
상황은 여전히 나쁘다. 화물 검수업체, 예선, 도선, 선용품 등 항만 관련 업체에 미지급금이 남아 있기 때문이다. 이들 업종 가운데 한 업체라도 한진해운 선박 하역 작업을 거부하면 또다시 한진해운 물류 중단 사태가 발생할 수 있다. 관련 업계의 한 관계자는 “수습이 아예 불가능한 최악의 사태로 흘러갈 수도 있다”고 걱정했다.
한진해운이 운송할 예정이던 화물의 이탈 움직임도 늘어나고 있다. 부산신항에서 터미널을 운영하는 ‘한진해운신항만’의 한 관계자는 “화물 선적을 취소하고 반출하려는 화주 등의 요청이 몰리면서 업무가 마비될 지경이다. 반출 처리도 제때 되지 않아 현장 분위기가 좋지 않다. 정부가 전체적인 상황 파악도 정확히 못 하고 일을 벌인 듯하다. 시간이 지날수록 상황이 악화할 공산이 크다”고 우려했다. 한진해운이 부산항에서 처리하는 물동량은 연간 160만TEU(1TEU는 20피트 길이 컨테이너 1개)에 이른다.
부산항만공사 등 항만 관련 공공기관도 뾰족한 대책을 내놓지 못하고 있다. 이들은 관련 업체에 “항만 운영에 차질이 없게 협조해달라”고 요청한 것이 전부다. 부산항만공사의 한 관계자는 “업체들의 딱한 사정도 잘 알고 있지만, 마땅한 해결책이 없어 갑갑할 따름”이라고 말했다.
부산시는 지난 1일부터 항만 관련 업체에 300억원 규모의 특별운영자금을 지원하고 있다. 한진해운과 거래 실적이 확인되는 업체들이 대상이며, 한 업체당 최대 5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제조업체와 해운사를 연결해주는 이른바 ‘포워딩 업체’의 한 관계자는 “담보로 제공할 수 있는 물권 등이 없는 영세 업체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부산시의 지원책은 실효성이 없다. 임시방편에 불과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결국 정부 차원의 지원책·대책에 기댈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서병수 부산시장은 지난 1일 “세계 정상급 환적항만이자 컨테이너항인 부산항의 국제경쟁력이 저해되지 않도록 정부는 실효성 있고 강력한 항만 물류 지원 종합대책을 적극적으로 추진해달라”고 촉구했다. 이날 부산신항을 방문한 김영석 해양수산부 장관은 “정부 대응 수준을 강화했다. 부산항의 환적화물을 회복할 수 있도록 다양한 대책을 강구하고 있다”고 말했다.
부산/글·사진 김영동 기자
ydkim@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