앞으로 3개월 동안 저수율이 낮은 보령댐을 수원으로 하는 충남 서부권 8개 시?군의 가뭄상황이 심각해질 것으로 전망됐다.
국민안전처는 지난해 3월부터 시범 실시해온 가뭄 예·경보제도를 올해부터 매달 10일 정례 발표한다고 9일 밝혔다. 예·경보에서 가뭄 상황이 예상되면 관계부처끼리 협업을 통해 농업·생활·공업용수 등 분야별 가뭄대책을 추진해 피해를 최소화한다는 계획이다.
이날 발표한 1월 분야별 가뭄 예?경보 내용을 보면, 최근 6개월 동안 전국 강수량은 평년(837.5㎜)의 93% 수준으로 전국적인 기상가뭄은 발생하지 않았다. 그러나 서울·인천·경기·강원영서·충청 일부지역 23개 시·군은 60% 미만으로 ‘주의’ 단계였다. 특히 경기 오산은 강수량이 평년의 40% 미만에 그쳐 ‘심함’ 단계이다.
전국 다목적댐 저수율(53.2%)은 평년(50.2%)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저수율이 낮은 보령댐을 수원으로 하는 충남 서부권 8개 시?군의 가뭄상황은 ‘주의’ 단계다. 전국 농업용 저수지의 저수율(73.5%)은 평년(77.4%)의 95% 수준이다.
1월 한달 동안 전국 강수량은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을 것으로 예상돼 현재 주의·심함 단계인 지역의 가뭄은 계속될 것으로 전망했다. 향후 3개월 역시 평년과 비슷하거나 적었다. 특히 보령댐 주변 지역의 가뭄상황은 ‘심함’ 단계로 심화되고, 평림댐을 수원으로 하는 전남 담양·함평·장성·영광 등 4개 시?군은 주의단계의 가뭄상황이 발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한경 안전처 재난대응정책관은 “가뭄지역은 댐?저수지의 선제적 용수감량 등을 통해 용수를 비축하고, 용수공급체계 조정 검토 등 장기 가뭄에 철저히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원낙연 기자
yanni@hani.co.kr, 사진 국민안전처 제공