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원순 시장이 이번 시민혁명의 현장인 광화문 광장을 국가권력 공간에서 민주주의 시민광장으로 바꾸겠다고 밝혔다. 광장을 교통섬이 아닌 보행광장으로 바꾸고, 주변 건물의 저층을 광장과 연계해 활성화하며, 광화문 월대 등 역사를 복원하겠다는 것이 핵심이다.
현재 유럽을 방문 중인 박 시장은 2일 기자들에게 “광화문 광장이 국가상징 거리로서 위상을 갖추도록 중앙정부와 함께 재구조화하겠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중앙 분리대 느낌인 광화문 광장을 한쪽으로 붙이거나, 왕복 10차로를 절반으로 대폭 줄이는 방안 등이 논의되고 있다”고 말했다. 박 시장은 “2018년 3월 광화문 광장 국제 설계 공모를 목표로, 5월에 시민 토론회를 열고 8월엔 광화문 포럼 주관으로 마스터플랜을 세운다”고 밝혔다. 서울시는 오는 5월 새 정부가 들어서면 9월부터 중앙정부-서울시의 합동 태스크포스도 구성해 운영한다.
따라서 먼저 광화문 광장의 성격이 권력 공간에서 시민 공간으로 전환된다. 이를 위해 광화문 바로 앞은 역사를 담은 광장으로 바꾸고, 그 남쪽 세종대로는 시민 친화형 거리로 조성된다. 현재 왕복 10차로인 차로를 절반으로 대폭 줄여 중앙분리대, 교통섬으로 불리는 광장을 보행자 중심 공간으로 바꾼다. 또 기존에 잔디밭이나 개울 등 여러 시설이 들어섰던 광장은 최대한 비워 열린 공간으로 운영한다.
보행자들이 즐겁고 쾌적하게 걸을 수 있게 주변 건물의 저층부를 활용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한국통신 건물은 저층을 보행자 공간으로 바꾸고, 해치마당과 세종로 공원 등 주변 공간도 발굴을 마친 뒤 시민 공간으로 조성한다. 광장과 주변 거리와 건물이 분리되지 않고 하나의 공간으로 연결되도록 하는 것이다.
서울시의 새 광화문 광장 개념도. 서울시 제공.
역사도 회복한다. 현재 일부만 복원된 광화문 월대와 해태상을 제자리에 복원한다. 또 의정부와 6조가 들어섰던 광화문 광장의 역사 복원도 검토한다. 교보문고 앞 기념비전은 주변을 정비해 시민들이 더 접근할 수 있게 한다. 이와 함께 광화문 광장-광화문-경복궁-백악(북악)-북한산-하늘로 연결되는 경관 축도 살린다.
광화문 광장은 조선 때 행정부인 6조가 있던 곳으로 통상 ‘6조 앞’으로 불렸다. 일본 강점기 때는 경복궁 안에 조선총독부가, 광화문 앞엔 경기도청이 들어섰다. 해방 뒤에도 광화문 앞 서쪽엔 정부청사가, 동쪽엔 미국 대사관 등 권력 기관이 들어섰다. 그러다 정부청사 남쪽에 세종문화회관이 들어서면서 이곳의 성격이 바뀌기 시작했다. 1990년대 이후 경복궁이 복원되면서 시민단체들은 광화문 광장 일대를 역사문화 지구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이 주장은 노무현 정부 때 세종시 건설을 추진하면서 기회를 얻는 듯했으나, 결국 세종시가 반쪽으로 축소되면서 논의가 중단된 상태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