혁신도시를 스마트시티로
홍준표 “지역서 30% 고용·기반시설 구축”
유승민 “특화 산업 육성·지방 대학 투자”
심상정 “재생 에너지 등 미래 산업 특화”
홍준표 “지역서 30% 고용·기반시설 구축”
유승민 “특화 산업 육성·지방 대학 투자”
심상정 “재생 에너지 등 미래 산업 특화”
세종시 건설과 함께 지역균형발전의 2대 축은 공공기관 이전을 통한 혁신도시 건설이다. 세종시엔 62개 공공기관, 혁신도시엔 115개 공공기관이 이미 옮겼거나 이전 중이다. 세종시와 혁신도시 외에도 19개 공공기관이 지방으로 이전했거나 이전 예정이다.
이 두 가지 정책에 따라 해방 뒤 처음으로 수도권 인구가 지방으로 순이동하기 시작했다. 그 규모는 2013년 4384명, 2014년 2만1111명, 2015년 3만2364명, 2016년 863명이었다. 정부와 소속·산하 기관의 이전에 따른 효과가 나타난 것이었다. 그러나 2016년 순이동 규모가 크게 줄어 앞으로 좀더 지켜봐야 한다.
문재인 후보는 혁신도시를 4차 산업혁명의 전진 기지이자 스마트시티로 만드는 ‘혁신도시 2기’ 사업을 통해 균형발전을 추구하겠다고 밝혔다. 기존의 계획대로 혁신도시를 ‘클러스터’(복합산업단지)로 만들어 지역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겠다는 것이다. 또 획기적인 지원을 통해 대기업 본사의 지방 이전을 촉진하겠다고 밝혔다.
안철수 후보는 “혁신도시의 클러스터 용지에 기업 이전을 촉진하되 정보통신기술을 접목한 스마트시티로 발전시켜 지역 경제의 거점으로 활성화하겠다”고 밝혔다. 구체적으로는 공공기관 관련 민간 기업의 입주 기준을 완화하고 입주 기업을 지원하며, 공공기관 신규 채용 때 지역 인재 비율을 35% 이상으로 하겠다는 것이다.
홍준표 후보도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겠다고 공약했다. 혁신도시의 공공기관은 지역인재를 30% 이상 의무 고용하게 하고, 혁신도시에 교통·물류 등 미래형 도시 기반시설을 구축하겠다고 밝혔다. 또 혁신도시 주택의 착공과 분양이 차질 없이 추진되도록 하겠다고 약속했다.
유승민 후보도 혁신도시의 공공기관을 중심으로 각 지역별로 특화된 산업이 발전할 수 있게 하겠다고 약속했다. 또 지방 대학에 집중 투자해 창업과 중소기업의 혁신을 이루고, 기업을 유치해 일자리 창출과 소득 증대, 지역 경제 활성화 구조를 만들겠다고 밝혔다.
심상정 후보 캠프는 “혁신도시를 활성화하겠다. 재생 에너지를 비롯한 미래 산업을 지역별로 특화하도록 지원하고, 이것을 혁신도시와 연계해 시너지를 내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주요 대선 후보 5명은 혁신도시를 활용해 지역 발전의 거점으로 삼겠다는 데는 대부분 동의했다. 그러나 대기업 본사 이전이나 기업 유치, 클러스터 조성, 스마트시티 조성 등을 실제로 어떻게 할지는 분명치 않다. 이런 약속은 기존에도 나왔으나, 대부분 실행되지 않았다. 정부가 공공기관 외에 민간 기업이나 대학, 연구기관 등을 유치하는 것은 말처럼 간단한 일이 아니기 때문이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