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9구급대 설치에서 도시와 지방 격차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지역대에서 출동 신호를 받은 119 구조대. 박종식 기자 anaki@hani.co.kr 드디어
응급환자를 처치하고 이송하는 119구급대 배치에서 도시와 시골 사이의 격차가 큰 것으로 드러났다. 도심과 거리가 멀수록 응급의료 지원이 제대로 되지 않아 환자 생존률이 떨어질 수밖에 없는 것이다.
국회 행정안전위원회 진선미 의원(더불어민주당)이 공개한 소방청 자료를 보면, 2017년 6월 기준으로 119지역구급대가 설치돼야 하는 지역 가운데 전남(18곳)과 전북(16곳), 경기(14곳) 등 총 95곳에 119지역구급대가 설치되지 않았다. 특히 119지역구급대가 없는 지역의 30%는 전라남·북도에 있었다. 서울과 부산엔 구급대나 안전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지역이 한 곳도 없었다.
‘지방소방기관 설치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119안전센터가 설치되지 않은 30㎦ 이상 면적, 인구 3000명이 넘는 읍·면이나 소방직원이 빨리 구조하기 어려운 도서·산간 지방 등은 반드시 119지역구급대를 설치하도록 돼 있다. 지역구급대는 응급환자를 처치·이송할 수 있게 최소한의 구급차와 인력, 장비 등을 배치한 곳을 말한다.
인력 공급도 도-농 격차가 컸다. 지역구급대원 수요·공급 상황을 보니 경기는 734명이 모자라 전국에서 인력이 가장 부족한 지역이었다. 그 다음은 경북(308명), 전남(276명), 경남(255명) 순이었다. 구급차 1대당 9명의 대원이 필요한데, 경북·경남은 구급차는 있지만 인력이 부족했고, 전북·전남은 구급차와 인력이 모두 부족했다.
119에 신고한 뒤 구조구급차량이 현장에 도착할 때까지 평균 소요시간을 시·도별로 비교해보니 전남이 11분으로 가장 오래 걸렸다. 그 다음 경북(10분48초)과 전북(10분 42초) 순으로 느렸다.
남은주기자
mifo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