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재 사고가 갈수록 늘면서 도심 터널 화재 때 위험지수를 사전에 반영한 대책이 마련돼야 한다는 지적이 높다. 사진은 지난 11월25일 인제터널 화재 사고현장 소방청 제공
지난해 서울에선 2달에 1번꼴로 도심 터널 화재가 발생했지만 불이 났을 때 인명을 지킬 수 있는 제연시설은 절대적으로 부족한 것으로 드러났다.
12일 신도림환기구주민비상대책위원회가 소방청에서 정보공개 청구로 받은 ‘2007~2016년 터널화재건수’를 보면, 지난 10년 동안 전국 터널에서 275건 화재가 발생했고, 그중 1위는 경기도(72건), 그 다음이 서울시(38건)로 수도권에서 많이 발생했다. 서울은 지난해 구룡·서초 등에서 7건의 터널 화재가 일어났고, 10년 동안 화재가 가장 많은 화재가 난 터널은 수락터널(15회), 그 다음은 홍지문터널(10회)이었다. 원인은 운전자 부주의나 차량 과열 등이었다. 교통량이 많은 도심 터널에서 화재가 발생하면 인명 피해 우려가 크다.
터널 설계에선 소화 장비만큼이나 연기를 뺄 수 있는 제연설비가 중요하다. 그러나 2015년 12월 한국터널지하공간학회가 조사한 ‘도로시설 방재시설 및 설치 관리지침 개정 연구’를 보면, 우리나라는 2004년에서야 길이 1000m가 넘는 터널에 반드시 제연설비를 설치하도록 하는 규정이 시행됐다. 2016년 말 기준으로 국내 터널은 총 2189개인데 오래된 터널 287곳은 제연시설이 없을 것으로 추정된다.
또 도심 터널 화재가 빈번하다는 사실이 알려지면서 화재 때 연기를 밖으로 뿜어내는 배연구에도 정화장치를 갖춰야 한다는 목소리도 높다. 신도림환기구주민비상대책위원회 송영덕 위원장은 “그동안 서울시는 터널 화재가 흔치 않다는 이유로 공기정화 장치가 없는 굴뚝을 계획해 왔다. 그러나 되도록 연기를 정화할 수 있는 시설을 꼭 갖춰야 하고, 그것이 어렵다면 주변 주민들의 피해를 줄이기 위해 최대한 높은 굴뚝을 만들어야 한다”고 했다.
남은주 기자
mifoc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