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교실 공기청정기가 이산화탄소 주범?

등록 2018-04-02 17:27수정 2018-04-02 21:35

미세먼지 30% 줄이면 이산화탄소 농도가 기준치 2배로
경기 교육청 “공기순환기도 필요하지만 예산상 어려워”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교실에 설치하는 공기청정기가 이산화탄소(CO₂) 농도 급증의 주범으로 나타났다.

2일 경기도 교육청이 경희대 환경공학과 조영민 교수팀에 의뢰한 ‘초등학교 공기정화장치 효율성 평가 및 설치기준 마련을 위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교실에 공기청정기를 설치하는 경우 미세먼지(PM2.5)는 30% 줄었다. 공기청정기와 함게 공기순환기나 창문형 필터를 설치하면 미세먼지는 40%까지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기청정기을 위해 창문을 닫으면 교실 내 이산화탄소의 농도는 최대 2300ppm까지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학교보건법상 교실 안에서의 공기질 기준인 이산환탄소 농도 1000ppm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치다. 실내에 이산화탄소가 많아지면 나른함과 어지러움, 두통, 메스꺼움 등을 일으킬 수 있다. 또 공기정화장치를 가동하면 소음이 기준치(55db)보다 19.7데시벨(db) 더 높아지고 미세먼지가 다시 일어나며 냄새가 나는 등의 문제점도 나타났다.

도 교육청 관계자는 “공기청정기 가동 시 미세먼지 저감 효과는 있으나 이산화탄소가 지속해 증가한다. 공기청정기와 함께 공기순환기를 가동하면 미세먼지와 이산화탄소를 동시에 저감할 수 있으나 비용이 많이 드는 게 문제”라고 말했다.

실제로 공기청정기의 1대당 가격은 100만원가량이며, 임대하면 연간 48만원 정도의 비용이 든다. 반면, 공기청정기와 공기순환기를 함께 갖춘 장비를 설치하려면 교실 1곳당 300만~400만원이 든다. 예를 들어 경기도 초등학교 1276곳 중 공기청정기가 미설치된 교실에 공기청정기를 임대해 설치하면 1년에 97억원, 구입하면 200억원이 들지만, 공기청정기와 공기순환기를 함께 설치하려면 예산은 700억원으로 늘어난다.

도 교육청은 이달 초부터 120개 초등학교에 미세먼지 저감을 위해 공기정화장치를 시범 설치해 운영 중이다. 하지만 예산 문제로 98곳에는 공기청정기만 설치했고, 공기청정기+공기순환기를 설치한 곳은 22곳에 불과했다. 도내 유치원에도 모두 47억원을 들여 공기청정기를 임대 설치할 계획이다.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여수 ‘14명 탄 어선’ 침몰 3명 사망…추가발견 1명 의식 없어 1.

여수 ‘14명 탄 어선’ 침몰 3명 사망…추가발견 1명 의식 없어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2.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워낙 비싸 팔기도 죄송해진” 단맛 별미 ‘이것’ 3.

“워낙 비싸 팔기도 죄송해진” 단맛 별미 ‘이것’

‘간첩 혐의’ 민주노총 간부 3명, 5~15년형 법정 구속 4.

‘간첩 혐의’ 민주노총 간부 3명, 5~15년형 법정 구속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5.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