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내에 미세먼지가 심한 모습. <한겨레> 자료사진
최근 서울의 미세먼지가 심해진 것은 국내 기상 여건이 악화된 것과 더불어 중국 베이징, 선양 등에서 발생한 초미세먼지가 유입됐기 때문이라는 분석이 나왔다. 특히 지난 2월말 중국 현지 정월대보름 행사 때 베이징에서 터트린 폭죽이 서울 대기를 오염시키는 데 영향을 미쳤다는 지적도 나왔다.
신용승 서울시 보건환경연구원장은 6일 서울시청에서 브리핑을 열어 “1~2월 중국 도시의 초미세먼지 농도가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약 23% 증가했다”며 “서울의 1~2월 초미세먼지 평균 농도도 37㎍/㎥로 최근 5년 중 가장 높았고, 미세먼지 ‘나쁨’ 일수 또한 23일로 크게 악화됐다”고 밝혔다. 신 원장은 “올해 1~2월 서울지역의 풍속은 5년 중 최저, 강수 일수 역시 5년 중 가장 적었다”며 “기상 조건 역시 고농도 미세먼지가 나타날 수 있는 최악이었다”고 덧붙였다. 미세먼지를 날리거나 씻어 없애는 데 영향을 주는 바람과 비가 적어 대기가 정체된 상황에서 초미세먼지가 중국 등 국외에서 반복해서 들어오면서 초미세먼지가 연일 기승을 부렸다는 설명이다. 보건환경연구원이 시간순으로 미세먼지 농도 변화를 분석해보니, 베이징과 선양에서 고농도 미세먼지가 발생하고 12~30시간 뒤에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가 올라가는 것으로 나타났다. 중국의 음력 정월대보름(원소절)인 2월19일 베이징에서 폭죽놀이 행사가 진행된 뒤 약 20시간 뒤에 서울의 황산염 농도는 4.6배, 폭죽 연소 산물인 스트론튬은 11.1배 급증했다. 지난 2일 낮 12시 베이징에서 고농도 미세먼지 농도가 231㎍/㎥를 기록하고 30시간 뒤 서울의 미세먼지 농도는 72~101㎍/㎥로 관측됐다. 이에 따라 중국에서 발생한 오염물질이 서울·수도권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고 연구원은 분석했다.
연구원은 미세먼지를 줄이기 위해선 국외 요인 제거와 함께 국내적 노력도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신 원장은 “기상 요인과 국외 요인만 생각하며 손 놓고 있을 수는 없고 국내 배출가스 감축도 획기적인 실천이 필요하다”며 “여러 한계로 인해 국내 배출 요인을 단기에 크게 줄이기 어렵다면 건강 유해도 저감 효과가 큰 발생원을 줄이는 것이 좋다”고 말했다. 신 원장은 특히 경유(디젤) 배기가스는 발암물질 등 건강 유해 성분이 다른 배출원에 비해 더 많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고 설명했다.
서울시는 국내 배출가스 감축을 위해 올해 하반기부터 서울 사대문 안 녹색교통진흥지역(사대문 안 종로구·중구 일대)에서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의 통행을 상시적으로 제한하는 방안을 시행할 예정이다. 이 방안이 시행되면 서울 일정 지역에선 평소에 배출가스 5등급 차량이 다니지 못한다. 현재 시는 미세먼지 비상저감조치 때만 배출가스 5등급제를 시행하고 있다.
다만, 녹색교통진흥지역을 운행하는 차량에 혼잡통행료를 물리는 방안은 검토하고 있지 않다고 시는 밝혔다. 이원목 서울시 교통기획관은 “2017년부터 연구해왔으나 혼잡통행료 부과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 계획을 세우고 있지 않다”고 말했다. 시는 비상저감조치 때 공공기관 임직원을 대상으로 실시하는 차량 2부제도 당분간 확대할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구아미 서울시 대기기획관은 “시행한 지 얼마 안 된 배출가스 5등급제가 정착되기까지 시간이 필요해 차량 제한과 관련한 추가적인 대책은 검토하지 않고 있다. 차량 2부제 등은 시민 의견을 면밀히 듣고 중앙정부와 상의해 결정할 사안”이라고 말했다.
김미향 기자
arom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