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전국일반

10년 동안 심장정지 39.4% 증가…생존율은 3.4배 증가

등록 2019-11-26 12:00수정 2019-11-26 12:05

소방청·질병관리본부 공동 발표
발병 환자 생존율은 아직 10% 미만
심폐소생술 시행 땐 생존율 2~3배
2019년 2월 대전의 한 폭발 사고 현장에서 줄지어 나오는 구급차들. 연합뉴스
2019년 2월 대전의 한 폭발 사고 현장에서 줄지어 나오는 구급차들. 연합뉴스

2018년 119구급대에 의해 병원으로 옮겨진 급성심장정지 환자는 10년 전보다 39.4% 늘어났으며, 생존율은 10년 전보다 3.4배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생존율은 여전히 10% 미만이다.

26일 소방청과 질병관리본부가 발표한 조사 결과를 보면, 급성심장정지는 2008년 2만1905건에서 2018년 3만539건으로 39.4% 늘어났다. 10만명당 심장정지 발생률도 2008년 44.3명에서 59.5명으로 34.3% 늘어났다. 심장정지 환자의 생존율은 2008년 2.5%에서 2018년 8.6%, 뇌기능 회복률은 0.8%에서 5.1%로 각각 3.4배, 6.4배 늘어났다. 뇌기능 회복은 환자가 혼자서 일상 생활이 가능할 정도로 뇌기능이 회복된 것을 말한다.

환자가 쓰러진 뒤 다른 사람이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는 2008년 1.9%에서 2018년 23.5%로 12배나 늘어났다. 심폐소생술을 시행한 경우 생존율은 1.9~3.3배로, 뇌기능 회복률은 2.8~6.2배로 높아졌다.

환자 성별로는 남자가 64.0%로 여자(35.9%)보다 훨씬 높았고, 나이가 높을수록 발생률 더 높아졌다. 특히 70살 이상 노인의 발생률은 2008년 40.4%에서 2018년 51.4%로 10년 동안 11% 포인트나 높아졌다. 심장정지의 원인은 심근경색, 심부전, 부정맥 등 심장의 기능 부전이 93% 이상을 차지했다. 발생 장소는 가정이 45.3%로 가장 많았으며, 그밖에 도로(7.7%), 요양기관(7.6%), 구급차 안(6.1%) 순서였다. 발생 상황은 일상 생활 중(31.1%)이 가장 많았으며, 치료 중(8.2%) 근무 중(5.4%), 여가 중(2.0%)이 그 다음이었다.

급성심장정지 통계는 2008년부터 정부 차원의 조사가 시작됐고, 2011년 국가 통계로 승인됐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아산 신정호수’ 충남 1호 지방정원 등록 1.

‘아산 신정호수’ 충남 1호 지방정원 등록

국힘 성남시 의원들, 의장 선거 이탈표 막으려 기표지 인증샷 2.

국힘 성남시 의원들, 의장 선거 이탈표 막으려 기표지 인증샷

21년 만에 돌아온 교외선 열차…낭만 ‘OK’, 주민들은 “기대 이하” 3.

21년 만에 돌아온 교외선 열차…낭만 ‘OK’, 주민들은 “기대 이하”

‘인혁당 재건위 사건’ 도예종 열사 부인 신동숙씨 별세 4.

‘인혁당 재건위 사건’ 도예종 열사 부인 신동숙씨 별세

석유 찾아 떠난 대왕고래, ‘희망고문’에 시달리는 사람들 5.

석유 찾아 떠난 대왕고래, ‘희망고문’에 시달리는 사람들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