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호등을 교차로 지난 곳이 아니라, 정지선과 가까운 곳에 설치해야 운전자들이 잘 대응할 수 있다.
신호등 위치를 바꾸거나 단속 장비를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교통 사고를 크게 줄일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29일 행정안전부는 전국의 교통 사고 잦은 곳에 대한 개선 사업의 결과로 교통 사고 사망자수가 68.3%, 교통 사고 건수는 30.1% 줄었다고 밝혔다. 이는 행안부가 도로교통공단과 함께 지난 2017년에 시설 개선을 마친 전국 210곳을 대상으로 개선 앞 3년 동안의 사고와 개선 뒤 1년의 사고를 비교, 분석한 결과다. 교통 사고 잦은 곳은 광역시에서 한 해 교통 사고가 5건 이상, 그밖의 지역에선 한 해 3건이 상 일어난 곳을 말한다.
이 결과를 보면, 개선 앞 3년(2014~2016년) 동안 한 해 평균 사망자수는 38명이었으나, 개선 뒤 2018년에는 사망자수가 12명으로 68.3% 줄었다. 교통 사고 건수도 개선 앞 한 해 평균 2001건에서 개선 뒤 1398건으로 30.1% 줄었다. 개선 사업의 내용은 신호기 늘림, 무인단속장비 설치 등이다.
구체적 사례를 보면, 강원도 속초시 교동 청초교 네거리는 신호등이 차량 정지선에서 너무 멀어 교차로의 신호 위반과 사고가 한 해 평균 9.3건으로 잦았다. 그러나 신호등을 정지선에서 가까운 곳에도 추가하고, 무인단속장비를 설치했더니 한 해 1건으로 93% 줄었다.
행안부는 교통 사고를 줄이기 위해 1988년부터 교통사고 잦은 곳의 시설을 개선해왔으며, 지난해 말까지 전국 1만1154곳을 개선했다. 올해도 302곳을 개선할 계획이다.
윤종진 행안부 안전정책실장은 “2017년 한 해 4185명이었던 교통 사고 사망자수를 2022년까지 절반 이하인 2천명 선으로 낮추기 위해 교통사고 잦은 곳의 교통 시설을 계속 개선해나가겠다”고 밝혔다.
김규원 기자
ch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