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 강남·서초·송파·강동 등 이른바 ‘강남 4구’ 구청장과 지방의원들의 부동산 자산이 일반 국민의 6배에 이르는 것으로 조사됐다.
27일 진보당이 낸 ‘강남 4구 선출직 공무원 부동산 재산 분석 결과’ 자료를 보면 이 지역 구청장과 지방의원 104명이 신고한 재산은 모두 1831억원이었다. 부채 등을 합한 부동산 재산은 1967억원에 달했다. 한 사람당 18억9천만원어치의 땅과 집을 가지고 있는 셈이다. 이는 지난해 국민 가구당 평균 부동산 재산 3억2천만원과 비교해 6배가량 많은 것이다.
개인별로는 최남일 강남구의원이 177억원으로 부동산 재산이 가장 많았다. 이어 성중기 서울시의원(강남구) 122억원, 방민수 강동구의원 113억원, 정순균 강남구청장 81억원, 최종배 서초구의원 71억원 순으로 나타났다.
이 지역에는 집이 여러채인 지방의원·구청장도 흔했다.
다주택자는 모두 39명(37.5%)이었는데 이 가운데는 세채 이상 보유한 사람도 18명(17.3%)에 이르렀다. 특히 방민수 강동구의원과 이정인 서울시의원(송파구)은 가진 집이 각각 23채였다. 이어 김연후 강동구의원(18채), 정명숙 송파구의원(15채), 이영재 송파구의원(11채) 순이었다.
농지를 지닌 지방의원·구청장도 31명이나 됐다.
송기봉 송파구의원은 농지 1만7038㎡를 보유하고 있었다. 이어 서회원 강동구의원(1만6404㎡), 이혜숙 송파구의원(8133㎡), 조동탁 강동구의원(5682㎡), 성중기 서울시의원(4014㎡) 순이었다.
진보당은 “이번 조사는 대상 공직자의 부모 재산은 빼고 본인·배우자·자녀의 재산만 확인한 것”이라며 “공직생활 중 주택을 추가로 사들이는 등 투기가 의심되는 사례도 있었다. 재산 형성 과정을 한점 의혹 없이 밝히도록, 자치단체장과 지방의원들도 전부 부동산 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김양진 기자
ky0295@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