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세훈 서울시장이 지난 16일 오전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에서 열린 제303회 정례회 2차 본회의에서 더불어민주당 김경 의원의 질의에 답변하고 있다. 연합뉴스
오세훈 서울시장이 한겨레 광고 중단과 관련해 17일 서울 중구 서울시의회 본회의에서 다른 언론사와 광고비 형평성을 맞추는 차원이었다고 밝혔다. 다만 비판적 보도 직후 광고 중단 방침을 밝힌 경위에 대해서는 제대로 설명하지 못했다.
오 시장은 이날 제303회 정례회 제3차 본회의 시정 질문에서 “한겨레 광고비 집행을 왜 중단했느냐”는 오현정 서울시의원의 질의에 “한겨레 배정 광고비가 다른 언론사에 비해서 현저히 높다”고 답했다. 다만 오 시장의 “서울시 곳간은 시민단체 전용 에이티엠기(ATM·현금자동인출기)로 전락했다”는 발언과 관련한 <한겨레>의 정책 검증 기사가 나간 다음 날 광고비 집행을 중단한 것에 대해서는 “공교롭다”, “오해의 소지가 있다”면서도 뚜렷한 설명을 하지 않았다.
당시 이창근 시 대변인은 광고 집행 중단을 통보하면서 “이런 분위기에서는 (한겨레에) 광고비 집행이 어렵다”고 알려왔다. 단순히 다른 언론사와 광고비 형평성을 맞추기 위해서였다면 ‘이런 분위기’를 광고비 집행 중단 이유로 내세울 필요가 없었을 것으로 보인다. 오 시장의 설명이 앞뒤가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다.
오현정 의원은 질의 과정에서 “시정을 비판하는 보도 이후에 광고를 중단하겠다고 담당 부서에서 (한겨레 쪽에) 전화했다. 이게 바로 재갈 물리기고 삼척동자도 다 아는 사실이다. 이거야말로 언론 탄압”이라며 “과거 독재정권으로 돌아가는 듯한 느낌을 지울 수 없다”고 했다.
앞서 <한겨레>가 ‘“
시 곳간이 시민단체 ATM”이라더니…근거 못 대는 서울시’라고 보도하자 시는 한겨레에 연락해 ‘다음 달 예정된 광고를 모두 중단한다’고 통보했다. 기사 내용은 오 시장이 “지난 10년간 (박원순 서울시가) 민간보조·위탁금으로 시민단체에 지원된 총금액이 무려 1조원 가까이”라고 주장해왔는데, 시가 제출한 자료를 분석해보니 전임 시장이 중점 추진한 특정 12개 분야의 문제점을 구체적으로 설명하지 못한 데다 지원 액수도 크게 부풀려 있다는 내용이었다. 서울시의 한겨레 광고 중단이 알려지자 한준호 더불어민주당 원내대변인은 같은 달 31일 서면브리핑에서 “흡사 독재정권의 언론 압박을 보는 듯하다”며 “박정희 전 대통령은 유신체제에 비협조적이었던 동아일보와 동아방송의 광고를 중단했다. 오세훈 시장의 발상은 독재자의 전철을 그대로 밟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