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역버스들이 버스전용차선에 줄지어 있다. <한겨레> 자료사진
버스업계가 18일부터 수도권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를 중단하겠다고 예고한 가운데 경기도가 승차난 해결을 위한 뾰족한 대책을 찾지 못해 전전긍긍하고 있다.
16일 경기도와 경기 지역 버스업체 등의 말을 종합하면, 국내 최대 규모의 노선버스 회사인 케이디(KD)운송그룹 계열 경기 지역 13개 버스업체는 18일부터 광역버스의 입석 승차를 부분 중단한다. 중단되는 노선은 모두 99개로 이들 업체가 운영하는 전체 노선(112개)의 90%에 가깝다. 경기도 전체 광역버스 노선이 220개라는 점을 염두에 두면 절반 가까운 노선에서 입석 승차가 중단되는 셈이다. 앞서 경진여객과 용남고속 등은 지난 7월부터 입석 승차를 중단한 바 있다.
경기 지역 버스 노선 절반 가까이가 입석 승차가 중단되면 해당 버스를 이용해온 시민들의 승차난이 불가피해진다. 출퇴근 시간대 케이디운송그룹 계열 버스를 이용하는 입석 승객은 3천명이 넘는다.
승차난을 해소하기 위해 국토교통부 산하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는 지난 7일 대책회의를 열어 출퇴근 시간대 버스 운행 횟수를 늘리고 전세버스를 투입하라는 권고안을 냈다. 이후 경기도는 정규버스 53대 증차와 전세버스 89회 투입 등의 대책을 내놨다.
케이디(KD)운송그룹 계열사 광역버스가 ‘18일부터 입석 승차를 금지한다’는 안내 펼침막을 내걸고 정차해 있다. 독자 제공
문제는 이런 대책이 원활하게 시행되기 어렵다는 점이다. 무엇보다 코로나19로 이직한 버스기사가 많아 운전사 수급이 쉽지 않다. 증차도 여의치 않다. 업계는 승차난 해소를 위해선 최소 100대의 증차가 필요하다고 본다. 하지만 대규모 증차는 서울의 교통난을 불러올 여지가 커 서울시와 협의가 쉽지 않다는 난점이 있다. 김미숙 경기도 공공버스운영팀장은 “경기도와 서울·인천시가 참여해 17일 열리는 대도시권광역교통위원회에서 입석 문제 해결을 위한 방안이 나오지 않겠느냐”고만 했다.
국토부 자료를 보면, 서울과 경기 지역을 오가는 승객은 10월 현재 21만5천여명이며, 이 중 입석 승객은 4802명에 이른다.
김기성 기자
player009@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