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9월16일 인천 중구 월미공원에서 열린 ‘월미도 원주민 희생 추모행사’에 참석한 시민이 월미도 희생자를 기리는 위령비에 헌화하고 있다. 이승욱 기자
인천시가 인천상륙작전 전승 행사 규모를 ‘국가행사’급으로 확대하려고 하자 시민단체가 반발하고 있다. 전세를 일거에 역전시킨 인천상륙작전의 군사적 성과와 역사적 의미는 충분히 평가할 만하지만, 작전 과정에서 발생한 무고한 민간인 피해를 고려한다면 행사 자체를 축제화·이벤트화하는 것만이 능사는 아니라는 지적도 나온다.
인천시는 19일 “내년부터 9·15 인천상륙작전 전승 행사를 프랑스 노르망디 상륙작전 행사에 버금가는 대규모 행사로 확대한다”고 밝혔다. 지금까지 행사는 참전용사와 유가족을 초청해 기념·추모하는 수준에서 치러졌다. 인천시 계획을 보면, 시는 내년에 국·시비 약 33억원을 투입해 역사·기념관 건립과 전승 행사 문화 축제, 참전용사 호국보훈 거리행진, 9·15 마라톤 대회, 영화제 등을 연다. 이듬해부터는 참전국 정상을 포함해 초청 인사 범위를 크게 확대하고 다큐멘터리 제작과 평화 기원 음악회도 연다. 인천시 쪽은 “인천상륙작전 기념 주간을 지정하는 등 연례적인 일회적 행사에서 벗어날 방침”이라며 “매년 관련 예산을 증액해 행사 규모를 키워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인천시의 이런 움직임에 일부 시민단체들은 반발했다. 인천평화복지연대 등은 성명을 내어 “상륙작전 전 미군의 폭격으로
월미도 주민 다수의 희생이 있었고 일부는 실향민이 됐다. 고향으로 돌아가지 못한 월미도 실향민들이 추모행사를 열며 아픔을 달래고 있는 상황에서 전승 행사 규모 확대는 흔쾌히 수용하기 어렵다”고 했다.
한국전쟁 당시 미군의 월미도 폭격은 인천상륙작전의 오점으로 지적돼왔다. 2008년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가 펴낸 조사 자료를 보면, 미군은 인천상륙작전 중 민간인 희생을 줄이기 위한 조처 없이 월미도 전체를 폭격했고, 주민들을 상대로 기총사격을 해 100여명의 민간인 희생자가 발생했다. 이 중 신원이 확인된 희생자는 10여명에 그친다. 진실화해위는 이를 토대로 인천시에 희생자 위령 사업과 진실 규명 사업 지원을 권고한 바 있다.
학계에서도 전승 행사 확대 움직임이 성급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전갑생 성공회대 동아시아연구소 선임연구원은 <한겨레>와 한 통화에서 “1907년 헤이그협약은 민간인 밀집 지역은 폭격을 금지하고 있지만 인천상륙작전 중 미군은 대피 방송도 없이 민간인 거주지역에 무차별 폭격을 했다”고 짚은 뒤 “평화를 이야기하려는 목적으로 행사 확대를 추진한다면 작전 과정에서 빚어진 잘못된 행동에 대해서도 반성 작업이 함께 이뤄질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승욱 기자
seugwookl@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