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일 세종시 국토교통부 청사 앞에서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반대 공동대책위원회와 시민들이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에 반대하는 집회를 열고 있다. 광명시 제공
서울 구로에 있는 철도차량기지를 광명시로 이전하기 위한 정부의 타당성 조사 결과 발표가 임박하면서 광명 지역 사회가 술렁이고 있다. 광명시 정치권과 시민사회에선 벌써부터 우려의 목소리가 나온다.
‘구로차량기지 광명이전 반대 공동대책위원회’와 박승원 광명시장은 7일 국회 소통관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구로구민의 민원 해결을 위해 광명시민의 희생을 강요하는 일방적 행정”이라며 “정당성을 전혀 갖추지 못한 구로차량기지 광명 이전 국책사업을 백지화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날 회견에는 구로구를 지역구로 둔 임오경·양기대 국회의원(더불어민주당)도 모습을 드러냈다.
이들은 “광명으로 이전하면 산림 축이 훼손되고, 광명·시흥·부천·인천 등에 수돗물을 공급하는 노온정수장 오염으로 수도권 시민 100만명의 생명권이 위협받는 심각한 상황에 직면한다”면서 “민-민 갈등, 지자체 간 갈등을 유발하는 정책을 당장 멈춰야 한다”고 말했다.
구로구차량기지 이전사업은 2005년로 거슬러간다. 그해 6월 국무회의에서 수도권 발전 종합대책의 하나로 차량기지의 서울 외곽 이전을 뼈대로 한 안건이 상정됐다. 1974년 8월 지하철 1호선이 개통된 뒤 구로구 일대 전동차 수리점검소로 인한 소음·진동·분진 등의 환경 문제가 꾸준히 제기돼 온 점을 고려해 차량기지를 서울 외곽으로 옮긴다는 구상이었다.
이후 국토교통부는 광명·시흥 보금자리지구 지정과 함께 차량기지 지하화 등의 조건을 달아 구로 차량기지에서 9.4㎞ 떨어진 광명시 노온사동으로 이전을 추진했다. 그러나 2016년 기본계획수립을 위한 용역이 진행되던 차에 광명시의 반발이 커지자 사업 추진은 중단됐다.
이달 중 발표 예정인 타당성 재조사는 2020년 8월부터 시작됐다 박 시장은 “정부는 2019년 이 사업 예산이 애초보다 14.4% 증가한다고 했다가 광명시가 축소 정황을 지적한 뒤 19.8% 증가한 것이 확인되자 2020년 타당성 재조사에 착수했다”고 말했다. 경제적 타당성을 충분히 따져보지 않고 사업을 과거 정부가 추진해 왔으며 현재도 상황이 달라지지 않았다는 게 박 시장의 주장이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