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건축·재개발 사업구역에서 건설 중인 주택을 사들여 공공임대주택 사업을 벌이고 있는 기초지방자치단체가 있다. 관내 주민들에게 저렴한 임대주택을 공급해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서다.
9일 <한겨레> 취재 결과, 경기 광명시는 민간 조합이 추진 중인 재건축·재개발 사업에서 건설되는 임대주택 물량 119가구를 인수한다. 구체적으로 철산동 철산주공 8·9단지 92가구와 광명1구역 27가구가 매입 대상이다. 매입과 임대주택 관리·운영은 광명도시공사가 맡는다.
광명도시공사는 지난해 12월에도 광명16구역에서 임대주택 24가구를 16억원을 들여 사들인 뒤 이 중 3가구를 16구역 재개발에 따른 이주민 가구에 공급한 바 있다. 나머지 21가구도 이달 중 대학생·청년·신혼부부·고령자·주거급여수급자를 대상으로 공급될 예정이다. 임대료는 주변 시세의 60~80% 수준이다. 광명시는 광명15구역 등에서도 임대주택 물량 9가구를 추가로 확보할 방침이다. 경기도에서 기초단체가 직접 임대주택 사업에 나선 건 광명시가 처음이다.
통상 재건축·재개발 과정에서 의무적으로 할당되는 임대주택 물량의 우선 인수권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나 경기주택도시공사에 있다. 광명16구역 임대주택은 한국토지주택공사, 철산주공 8·9단지와 광명1구역 물량은 경기주택도시공사가 가져갈 예정이었다. 광명도시공사가 이 물량을 살 수 있었던 건 광명시가 두 기관을 적극 설득했기 때문이다. 광명시 담당자는 “뉴타운·재건축·도시재생 등 20곳이 넘는 주택정비 사업 추진으로 인구 유출 등의 우려가 높았다. 지역 여건에 맞는 임대주택 사업의 필요성을 적극 제기했다”고 말했다.
광명시는 인수한 임대주택을 ‘행복주택’ 유형으로 공급하고 있다. 행복주택이 10년 임대 뒤 일반분양되는 통상적인 임대주택보다 보증금과 임대료가 싼 터라, 사회초년생과 신혼부부 등 젊은 계층에 소구력이 높다고 봐서다. 광명도시공사 관계자는 “광명소하지구 공공시설 용지에 일자리 연계형 청년임대주택 140가구 건설도 추진 중”이라고 말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