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가 발생한 당일인 지난 5월30일 시간대별 탁도를 나타내는 탁도 그래프(왼쪽 도표 파란선)가 낮 12시31일께 갑자기 뚝 떨어져 정상 범위에서 같은 수치를 지속 유지하고 있다. 경찰 조사 결과, 낮 12시31분께 상수도본부 직원이 탁도계를 고의로 끈 것으로 판단했다. 환경부 제공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 당시 수돗물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를 임의 조작한 혐의 등을 받는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공무원들이 검찰에 송치됐다.
인천지방경찰청 지능범죄수사대는 공전자기록 위·변작, 직무유기 등의 혐의로 불구속 입건한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 소속 공무원 등 7명을 기소 의견으로 검찰에 송치했다고 4일 밝혔다. 이들은 지난 5월30일 인천시 서구 공촌정수장에서 남동구 수산정수장의 물을 대체 공급하는 수계전환 과정에서 공촌정수장의 탁도를 측정하는 탁도계를 임의로 끈 혐의를 받고 있다.
공촌정수장 탁도계는 수돗물 탁도 수치가 0.12NTU(탁도 단위) 이상일 때 경보음이 울리도록 설정돼 있다. 그러나 사고 당일 공촌정수장 탁도가 평균 0.07NTU에서 수계전환 뒤 3시간 만에 먹는물 수질기준인 0.6NTU를 초과했다. 탁도계를 끈 뒤에는 탁도 수치가 갑자기 뚝 떨어진 뒤 평균치인 0.7NTU를 유지했다.
앞서 지난 6월18일 환경부의 정부 원인 조사반의 중간 조사에서 해당 직원들은 “탁도계가 고장났다”고 둘러댄 것으로 알려졌다. 경찰은 사고 당일 고장을 일으킨 원인을 밝히는 데 초점을 맞춰 수사해 왔으며, 상수도사업본부 소속 일부 직원이 정상 가동되는 탁도계를 임의로 끈 것으로 판단했다. 해당 직원들은 “탁도계를 조작한 사실이 없다”며 혐의를 부인한 것으로 전해졌다.
경찰은 피해 지역 주민단체 등이 상수도사업소 직원 등을 직무유기 혐의 등으로 고발함에 따라 수사를 벌여왔다. 경찰은 업무상 과실치상 및 직무유기 등 혐의로 박남춘 인천시장과 김승지 전 인천시 상수도사업본부장을 고발한 사건도 계속 수사하고 있다.
인천 붉은 수돗물 사태는 지난 5월30일 수계 전환 중 기존 관로 수압을 무리하게 높이다 수도관 내부 침전물이 탈락하면서 발생했다. 사태가 2달 가까이 이어지면서 공촌정수장 관할 급수구역인 서구·중구·강화 일대 26만1천가구, 63만5천명이 피해를 본 것으로 추산됐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