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확산이 우려되는 가운데 6일 오전 서울 종로구 돈의문박물관마을에서 서울시 관계자들이 방역 소독을 하고 있다. 서울시는 이달부터 신종코로나 예방을 위해 대학로 소극장 131개소와 박물관, 공연장 등 시 문화시설 71개소의 방역 소독을 매주 1회 실시한다. 연합뉴스
서울시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예방을 위해 대학로 민간 소극장과 시 소속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에 대해 매주 방역소독을 실시한다.
서울시는 3일부터 의무 소독 시설이 아닌 대학로 소극장 131곳과 시 소속 박물관, 공연장 등 문화시설 71곳을 매주 1회 방역소독한다고 6일 밝혔다.
방역소독은 인체에 무해한 코로나 바이러스 살균소독제(메디카바 살균소독액)를 방문객들의 신체가 닿는 바닥, 문, 손잡이, 벽 등에 분사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이번 방역 대상 문화시설을 시가 운영하는 공연장 뿐 아니라 비용 문제 때문에 자체 방역이 쉽지 않은 민간 소극장들도 방역한다. 감염병예방법 시행령 상 소독의무가 없는 대학로 소극장 131곳을 주 1회 모두 10주간 정기적으로 방역할 예정이다.
시는 또 박물관, 미술관, 도서관, 문화재와 시 운영 문화시설 71곳을 6일부터 방역소독한다. 문화재, 목재건축물 등의 시설은 소장품이나 건축물 자체에 영향을 주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방역소독을 실시할 계획이며, 세종문화회관, 동대문디자인플라자(DDP) 등 기존에도 정기 방역을 시행하는 시설도 매주 특별 방역을 추가로 실시한다.
시는 시민들의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방역을 실시한 시설에 ‘방역인증 스티커’를 붙여 각 시설의 방역 여부를 시민들이 직접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문화시설에는 열감지 카메라, 손세정제, 마스크 등 방역물품을 비치한다.
이밖에도 각 시설의 전시, 공연, 교육 등 행사는 축소 개최하고, 대규모 야외 행사나 불특정 다수를 대상으로 하는 프로그램은 취소하거나 연기하는 등의 문화시설 운영기준을 마련했다.
채윤태 기자
chai@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