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공산후조리원이 포함된 인천시 혁신육아복합센터 조감도.
인천시는 내년 중으로 지역 내 28곳의 민간 산후조리원 가운데 5곳을 ‘인천형 산후조리원’으로 지정해 운영할 계획이라고 26일 밝혔다.
인천형 산후조리원은 민간이 운영하되 시가 산모와 신생아의 감염병 예방 및 위생·안전 관련 시설이나 장비 등을 재정적으로 지원하는 사업이다. 특히 부모 육아교육, 산후우울증 관리, 산모 건강회복 등을 위한 다양한 프로그램도 지원한다. 시가 강사를 직접 채용해 파견하는 방식이다.
시는 인천형 산후조리원 선정을 위한 자체 평가기준을 마련 중이며, 예비 엄마 등을 대상으로 인천형 산후조리원에서 운영할 프로그램에 대한 선호도 조사를 진행할 예정이다. 시는 2022년까지 인천형 산후조리원을 모두 10곳으로 늘릴 방침이다.
출산한 가정에 출산육아지원금 100만원을 주고 있는 인천시는 241억원을 들여 부평구 옛 경찰학교 터 1만5000㎡에 공공 산후조리원이 포함된 혁신육아복합센터도 짓는다. 내년 착공에 들어가 2022년 말 문을 열 예정이다. 지하 1층~지상 2층짜리 출산동에는 공공 산후조리원이 들어서고, 지하 1층~지상 4층짜리 영유아동에는 육아종합지원센터, 실내 놀이시설, 가족 물놀이체험장, 어린이 도서관, 생태체험학습원, 음률·미술·과학 체험관 등이 설치된다.
시 관계자는 “출산 이후 산후조리원 이용은 보편적 문화로 정착됐다. 이용자의 시설 이용료 부담이 큰데, 재정적 지원은 미약하다”며 “공공 산후조리원 운영에는 재정적 한계가 있고, 모자보건법에 관련 근거가 없어 산후조리원 이용료 직접 지원은 어려워 ‘인천형 산후조리원’ 방식으로 진행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이정하 기자
jungha98@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