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경기도의회 대회의실에서 기본소득 국민운동 경기본부 출범식이 열렸다.
전국민적으로 기본소득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지는 가운데 기본소득의 입법화를 위한 국민운동본부가 전국 17개 시·도에서 구성을 끝냈다.
강남훈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 공동대표와 용혜인(기본소득당), 전용기 의원(더불어민주당) 등 50여명이 참석한 가운데 29일 오후 2시 경기도의회에서 기본소득 국민운동 경기본부 출범식이 열렸다. 기본소득 국민운동 경기본부가 출범하면서 지난해 12월22일 경남본부가 출범한 이래 전국 17개 광역본부의 출범이 모두 완료됐다.
이날 김상도 기본소득 국민운동 경기본부 상임대표(고려대 교수, 한국공공사회학회 대표)는 인사말에서 “약탈적 신자유주의에서 비롯된 한국 사회의 구조적 불평등과 무분별한 개발 등에 따른 사회적 양극화와 기후 위기 등 우리가 안고 있는 탈근대 위험 사회 해결을 위한 명확한 해법이 기본소득 민주주의다”라며 “기본소득 정책 의제의 연구와 소통을 위한 활동을 펼쳐나가겠다”고 말했다.
기본소득 국민운동 경기본부는 지난해 11월 발기인 모집에 나서 지난 22일 발기인 총회를 열고 52명의 공동대표를 선출한 바 있다. 이에 앞서 기본소득의 입법화를 위해 지난해 12월6일 2천여명의 발기인을 중심으로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가 결성됐으며 지난 7일 대학교수 35명으로 기본소득 정책단이 결성됐다.
이날 축하 영상 메시지를 보낸 이재명 경기도지사는 “코로나19 시대 이후 지구는 4차산업 시대의 도래 등으로 예전과는 다른 지구가 될 것이다. 새로운 상상력으로 새로운 시대를 대비하는 데 있어서 기본소득은 다가오는 미래를 위한 효과적이고 유일한 대안이 될 것이다”고 말했다.
기본소득은 이재명 경기지사의 주요한 핵심 정책 중 하나다. 이 지사가 차기 유력한 대권 주자로 부상하는 상황에서 국민운동본부가 이 지사의 대선 외곽 조직 아니냐는 시각에 대해 국민운동본부 쪽은 “시민들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기본소득 실천운동”이라며 선을 그었다.
김성용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 사무총장은 “기본소득은 국민운동은 기본소득의 입법화를 최대의 과제로 삼고 있다. 용혜인 의원이 있는 기본소득당에서 많이 도와주고 시대전환과도 소통하고 있다. 친일파를 빼고는 누구에게나 열려 있는 자발적 시민 참여조직이지 특정 정치인과 연관되어 있지는 않다”고 말했다.
기본소득 국민운동본부는 광역본부 출범를 완료한 데 이어 오는 5월까지 전국 기초자치단체 단위의 국민운동본부를 출범할 예정이다. 현재 경기도와 경남 경북, 전남 충남. 강원 등 64곳에서 결성이 됐거나 추진되고 있다.
글·사진 홍용덕 기자
ydho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