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호남

‘탄소 저감’ 역행하는 국립공원 대피소들

등록 2021-07-07 18:08수정 2021-07-08 02:08

지난해 에너지 사용량, 탐방객 10만명 받지 않았어도 2019년의 80% 수준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지리산 장터목대피소에 헬기로 운반해 놓은 발전용 유류 드럼통.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지리산사람들 제공
국립공원공단이 최근 지리산 장터목대피소에 헬기로 운반해 놓은 발전용 유류 드럼통.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 지리산사람들 제공

높은 산악 지대에 있는 국립공원 대피소들이 기후위기 대응을 위한 탄소 저감에 역행하고 있다는 지적이 나왔다.

국립공원을 지키는 시민의 모임인 ‘지리산사람들’은 7일 국립공원 대피소 20곳의 에너지 사용 실태를 분석한 자료에서 “자연 보존과 탄소 절감에 앞장서야 할 환경부와 국립공원공단이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 전환 의지를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지리산사람들은 2017년 추진하려다 중단했던 지리산 거림골~세석대피소 송전선로 공사가 최근 휴대전화 (통화) 사각지대를 없앤다는 이유로 재추진되자 대피소 전반의 에너지 실태를 점검했다.

국립공원 대피소는 지리산 8곳을 비롯해 설악산 5곳, 북한산 3곳, 덕유산 2곳, 오대산과 소백산 각 1곳으로 6개 지역에서 운영 중이다. 대피소 가운데 전기를 주 에너지원으로 쓰는 곳이 10곳, 경유를 쓰는 곳이 8곳, 무동력을 활용하는 곳이 2곳이다. 숙박이 가능한 대피소 14곳은 한 해 평균 10만여명을 수용했지만, 코로나19 확산 탓에 지난해 3월부터 숙박이 금지됐다.

지리산사람들은 대피소들이 탐방객을 받지 않았음에도 시설을 유지하느라 지난해 평소 대비 80% 안팎에 이르는 에너지를 썼다고 했다. 이들이 최근 2년 동안 대피소들의 에너지 사용량을 조사한 결과, 탐방객을 받지 않았던 지난해 유류비는 1억2583만원으로 2019년 1억6210만원의 78% 수준이었다. 지난해 납부한 전기료는 6163만원으로 2019년 6666만원의 92%로 나타났다. 반면 친환경·신재생에너지 비중은 미미했다. 햇빛·바람 등 신재생에너지 비율은 2019년 총 에너지사용량 61만138㎾h의 24.4%인 16만6278㎾h, 지난해 61만5303㎾h 중 29.0%인 17만8681㎾h에 불과했다.

윤주옥 지리산사람들 대표는 “국립공원의 대피소는 환경 당국의 철학과 가치를 보여주는 상징적인 공간인 만큼 에너지원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며 “탄소 저감을 위해 에너지 소비량을 줄이고, 화석연료 대신 햇빛·바람 등 친환경에너지로 100% 전환해야 한다”고 말했다. 조우 상지대 환경조경학과 교수는 “깊은 산속 경유발전은 대기를 오염시키고 소음을 유발하는 등 생태계에 영향을 끼친다. 더욱이 헬기를 동원해 유류를 운반하는 과정에서도 이산화탄소가 다량 발생하는 등 추가 오염이 일어난다”며 “환경기관들이 2030 탄소중립을 선언했으니 무인화까지 염두에 두고 기능을 조정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립공원공단은 에너지 절약과 친환경 전환에 현실적인 한계가 있다는 태도를 보였다.

공단은 이날 “장거리 산행을 위한 숙박이 금지됐지만 대피소 기능은 그대로 유지 중”이라며 “시설을 유지하는 데 에너지가 필요하고, 1200m가 넘는 산악 지대는 기상 조건이 나빠 신재생 발전 비율을 높이기 어렵다”고 밝혔다. 이경수 공단 재난관리부 차장은 “화장실, 취사장 등을 개방 중이고 구조와 보전을 위해 직원이 상주한다는 점을 고려해달라”며 “휴양 공간에서 대피 공간으로 인식을 바꾸고, 건축 때 에너지 절약형 공법을 도입하는 등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1.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2.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제주서 어선 2척 좌초…15명 중 2명 사망·2명 실종 3.

제주서 어선 2척 좌초…15명 중 2명 사망·2명 실종

새벽 도로에 누워있던 30대…깔고 지나가 숨지게 한 택시기사 ‘무죄’ 4.

새벽 도로에 누워있던 30대…깔고 지나가 숨지게 한 택시기사 ‘무죄’

한살부터 18살까지 다달이 20만원씩…전라남도, 출생기본수당 첫발 5.

한살부터 18살까지 다달이 20만원씩…전라남도, 출생기본수당 첫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