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 여수시 경도에 추진 중인 생활형 숙박시설(레지던스) 조감도. 여수시의회 제공
미래에셋이 여수 경도에 추진 중인 생활형 숙박시설(레지던스)의 건축허가를 앞두고 국정감사를 요구하는 목소리가 나왔다.
전남 여수시의회는 7일 경도 생활형 숙박시설 건립에 대해 국회의 국정감사와 감사원의 공익감사를 촉구하는 결의안을 채택했다. 여수시의회는 결의안을 통해 “미래에셋이 신청한 레지던스 건축허가를 광양만권경제자유구역청(광양경제청)에 심의 중”이라며 “전남도의 조건부 허가에도 애초 층수나 규모가 거의 바뀌지 않아 시민의 의혹과 우려가 커지고 있다”고 강조했다. 결의안을 발의한 이상우 여수시의원은 “경도의 자연경관을 해치고 부동산 투기를 조장하는 레지던스를 허가해서는 안 된다”며 “건축허가 승인만 남은 상황에서 각종 특혜 의혹을 밝히기 위해 국정감사와 공익감사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미래에셋은 지난달 20일 전남도의 조건부 통과안을 반영해 전체 11개 동 중 2개 동의 층수를 일부 낮추고, 객실 수를 1184실에서 1171실로 13실만 줄여 건축허가를 신청했다. 광양경제청은 이달 중 행정 소방 교육 분야 관계기관과 협의를 거쳐 승인할지 결정할 방침이다. 이는 레지던스 착공에 필요한 마지막 행정 절차다. 미래에셋은 건축허가가 나는 대로 7500억원을 들여 경도 진입도로 일대 6만5천㎡에 지상 4~29층, 지하 3층 규모로 11동의 타워형 레지던스를 지어 분양하기로 했다.
전남도의회에서도 경도 개발이 투자가 아닌 투기로 변모했다는 질타가 이어졌다. 강정희 전남도의원은 이날 도정질문에서 “제출된 경도 레지던스 건축안에 전남도 건축경관위원회의 조건부 의결사항이 제대로 반영됐느냐”며 소폭 조정에 불만을 토로했다.
민병대 전남도의원은 지난 6일 “경도 개발안의 변경과 레지던스 추진 등 과정을 보면 이 사업은 ‘투자’가 아닌 ‘투기’”라며 “여수의 레지던스가 현재 15곳 3500실이고 수년 안에 6000실이 늘어날 계획인데도 지역의 타격은 아랑곳 없이 ㎡ 당 2천만원인 초호화 레지던스를 분양해 5천여억원의 개발이익을 보려 한다”고 꼬집었다. 그는 이어 “경도 개발을 위해 예산 1천억원을 들여 연륙교를 건설해주고, 도가 양도한 경도 터 231만㎡의 땅값이 수년 만에 3.3㎡당 50만원에 800만원으로 올랐는데도 걸핏하면 ‘사업을 접고 철수하겠다’고 겁박한다”고 규탄했다.
김영록 전남지사는 답변에서 “관광숙박시설을 동시에 추진하는 만큼 투기는 아니라고 본다”며 “레지던스를 먼저 시작해 많은 우려가 있지만, 목적에 맞도록 감독하겠다”고 말했다. 김 지사는 이어 “미래에셋은 한 해 수익만 2조원을 내는 국제적 금융회사여서 경도 개발로 명예에 금이 가면 입을 손해가 더 크다고 보고 있다”며 “시민의 여망을 반영해 랜드마크가 될 관광시설을 갖추도록 협의하겠다”고 전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관련기사: “지역업체 타격”…여수 경도레지던스 경관심의 통과했지만 반발 여전
www.hani.co.kr/arti/area/honam/1002169.ht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