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남도는 1948년 10월 발생한 여순사건으로 숨진 민간인 희생자의 규모를 1만여명으로 추산하고 있다.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제공
와이엠시에이 등 전국의 시민단체 31곳이 여순사건의 진상을 규명하고 왜곡된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한 범국민위원회를 발족한다.
여순사건 진상규명과 역사바로세우기 범국민위원회는 10일 오후 2시 서울시 종로구 한국기독교회관 조애홀에서 창립식을 열고 활동에 들어간다. 범국민위원회는 미리 배포한 창립선언문을 통해 “지역과 역사를 옥죄였던 여순사건의 진상을 밝힐 특별법이 6월29일 제정됐고 7월20일 공포됐다”며 “애초 발의안의 수정에 따른 미비점을 보완하는 활동 등으로 역사를 바로 세우겠다”고 밝혔다.
범국민위원회는 △특별법 시행령의 방향 제시와 특별법 개정안 발의 △역사를 왜곡하는 수구언론의 보도에 대한 대응 △미래세대에 사실을 전달하는 공동 수업교재 발간 등을 다짐했다. 이를 위해 오는 14일과 10월18일 특별법 1차 개정 등을 두고 정책토론회를 열기로 했다.
범국민위원회는 여순사건 특별법에서 조사기구(사무처와 조사국)와 평화재단의 설치가 빠지고, 조사기간(3년→2년)과 신고기간(2년→1년)이 줄어든 데 대해 집중적으로 문제를 제기했다. 또 의료·생활지원금 지급 대상을 해당자가 거의 없는 후유장애자·수형자 등으로 묶지 말고 유족 전체로 확대해야 하고, 청구권 소멸시효도 없애는 쪽으로 의견을 내기로 했다. 황주찬 여수지역사회연구소 연구실장은 “20년 전 조사가 시작됐을 때 4·3제주의 유족 나이는 60~70대였지만, 현재 여순 유족은 80~90대여서 시간이 촉박하다”며 “집중적인 직권조사 등으로 처음이자 마지막인 이번 기회를 잘 살려야 한다”고 말했다.
범국민위원회에는 여순항쟁유족연합회와 여수지역사회연구소를 비롯해 한국와이엠시에이전국연맹,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전국교직원노동조합, 한국진보연대, 광복회 등이 참여한다. 진보진영의 원로인 함세웅 신부, 임명흠 목사, 도법 스님, 김원웅 광복회 회장 등이 상임공동대표를 맡는다.
여순사건은 1948년 10월19일 여수읍 신월리에 주둔했던 14연대 군인들이 제주4·3을 진압하라는 명령을 거부한 뒤 진압군과 충돌하는 과정에서 전남 동부권과 지리산 일대의 민간인 등 1만여명이 숨진 현대사의 비극이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