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시가 2020년 7월 시작한 무인 공공자전거 ‘타랑께’ 대여 사업은 시의회의 제동으로 특별한 대책이 없을 경우 6월 말 이후 폐지될 처지에 놓였다. 광주시 제공
승용차가 다니기 편한 광주광역시의 도로 체계를 개편해 ‘자전거 전용도로’를 신설해야 한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자전거 전용도로란 인도와 도로를 이어 만든 현재의 자전거 도로와 달리 자전거만 다닐 수 있는 도로를 말한다.
14일 광주시의회 최지현 의원이 임시회에서 한 질의 내용을 보면, 광주의 수송 분담률은 승용차 49.1%, 버스 26.2%, 택시13.7%, 지하철 3.3%, 기타 7.7% 등이다. 이 가운데 자전거 수송 분담률은 기타에 포함되며 약 2%인 것으로 파악됐다. 자전거 수송 분담률이 유럽 주요 도시에선 10~60%에 달하지만, 광주는 20년째 2%대다.
최 의원은 “시가 건설 중인 도시철도 2호선 1단계 구간이 2026년 말 착공될 예정이어서 승용차 중심에서 대중교통 및 자전거 등 녹색교통수단 전환이 시급하다”고 지적했다. 또 “광주광역시는 ‘2045 탄소중립’을 위해 수송 부분에서 시민 50%가 자전거 등 대중·녹색교통을 이용하고, 현재 승용차 비중에서 15%를 줄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며 “‘도로 다이어트’를 통해 자전거 전용도로 확보를 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광주시의회 최지현 의원이 지난 13일 시의회 임시회에서 5분 발언을 통해 광주에 자전거 전용도로를 건설하자고 제안하고 있다. 광주시의회 제공
광주광역시는 ‘자전거 이용 활성화 기본계획’(2019)에서 2%에 불과한 자전거 수송 분담률을 2024년까지 5% 수준으로 높일 방침이라고 밝혔지만, 지금으로선 실행 여부가 불투명한 실정이다. 2009년 이후 광주엔 663㎞에 달하는 자전거 도로가 조성됐지만, 단절 구간이 많고 대중교통과도 매끄럽게 연계되지 않아 자전거 수송 분담률을 높일 방안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높다.
시가 지난 2020년 7월 시작한 무인 공공자전거 ‘타랑께’ 대여 사업은 지난해 4억9800만원의 사업비를 상정했지만, 시의회에서 저조한 이용실적 등을 문제 삼아 6개월 운영비 1억7600만원을 제외하고 전액 삭감됐다. 광주시 도로과 쪽은 “2023년도 제1회 추가경정예산안에도 타랑께 예산은 따로 편성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이에 따라 타랑께 사업은 시의 대책이 나오지 않을 경우 6월 말 이후 폐지될 것으로 보인다.
광주시는 무인 공공자전거 이용 편의성을 높일 방안 뿐 아니라 자전거 전용도로 건설 대책 등 자전거 이용 활성화 대책을 수립하고 있다. 전준영 도로과 자전거 팀장은 “30일 ‘자전거 이용 활성화 위원회’를 열어 자전거 이용 활성화 대책을 보고할 방침이다. 도시철도 2호선 개통에 맞춰 시민들이 자전거를 안전하게 탈 수 있는 인프라를 구축하기 위한 방안을 찾고 있다”고 말했다.
정대하 기자
daeh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