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의당 목포시당 당원들은 지난달 말 목포 시내버스 독점업체의 휴업 신청을 비난하는 시위를 벌였다. 정의당 제공
전남 목포시가 시내버스 독점업체의 휴업신청에 대해 시민의 반발이 커지자 이를 반려했다.
목포시는 4일 “목포 태원여객·유진운수가 지난달 27일 제출한 휴업신청을 반려했다. 대중교통 운수업체는 공공의 성격이 강하기 때문에 운행을 중단하거나 휴업하는 것은 시민에 대한 도리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시는 이어 “대중교통의 향후 대책을 마련하기 위해서는 상당한 시간이 필요하기 때문에 우선 휴업허가 신청을 돌려보냈다. 이른 시일 안에 목포시내버스 운영대책위원회를 구성해 시의회, 전문가, 시민단체 등 각계각층의 의견을 듣고 업체의 운영상태를 객관적이고 투명하게 분석해 합리적 해결책을 마련하겠다”고 전했다.
시는 “업체 쪽이 받아들이지 않고 행정심판이나 행정소송을 걸 수 있지만 시민의 발인 대중교통을 세울 수 없다는 것이 일관된 입장”이라며 “코로나 장기화에 따른 승객 감소로 업체들이 재정적 어려움을 겪고 있어 여태껏 예산으로 적지 않은 재정지원을 해왔다”고 설명했다.
목포 시내버스 업체인 태원여객 유진운수의 버스들. 목포시 제공
앞서 태원여객·유진운수는 지난달 말 돌연 1년 동안의 휴업을 신청했다. 업체 쪽은 “코로나 여파로 승객이 2018년 1380만명에서 지난해 800만명으로 580만명 줄었다. 적자 규모도 2018년 11억원, 2019년 13억원, 지난해 43억원으로 늘어 정상 경영이 어려워졌다”고 이유를 설명했다. 업체 쪽은 “부채가 300억원에 이르러 문을 닫아야 할 위기상황이지만 사회적 책임 때문에 오는 7월부터 휴업하기로 하고, 두 달 동안 준비를 하도록 시에 통보했다”고 전했다.
업체 쪽의 휴업신청에 시민단체와 정당들은 싸늘한 반응을 보였다. 정의당 목포시당과 더불어민주당 목포지역위원회는 “시민을 겁박해 목포시의회 1차 추경 편성 때 보조금을 더 타내겠다는 꼼수”라고 성토했다. 일부 시민은 3일 원도심 로데오광장에서 시민자유발언 행사를 열어 “업체가 시민을 볼모로 삼아 사회적 혼란과 불안을 야기하고 있다”며 공영제 도입 등을 주장했다.
이 업체는 50여년 동안 목포지역 20개 노선에서 시내버스 157대, 고용인원 400여명 규모로 대중교통 사업을 독점해왔다. 이한철 목포상공회의소 회장이 대표를 맡고 있다. 목포시는 이 업체에 적자노선 보조와 공공성 강화 등 명목으로 2017년 22억원, 2018년 30억원, 2019년 40억원, 2020년 49억원, 올해 46억원의 재정지원을 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