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5일 출범한 목포시내버스운영공론화위원회의 1차 회의. 목포시청 제공
다음 달 운행을 멈추겠다던 목포 시내버스 업체가 휴업을 철회하면서 실태 검증의 공이 시민공론화위원회로 넘어갔다.
목포시는 31일 “목포시내버스운영공론화위원회(공론화위)가 지난 25일 휴업 철회를 업체 쪽에 요구하자 업체 쪽이 이를 사흘 만에 받아들였다”고 밝혔다. 시는 “간극이 컸던 시민과 업체의 인식을 좁히기 위해 운송원가, 경영상태, 운영방법에 대한 논의를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론화위는 연말까지 시내버스 운영 개선안을 마련한다는 일정으로 활동에 들어갔다. 공론화위는 6월16·30일 두 차례 회의를 열기로 했다. 2차 회의 때는 시내버스 운영체계에 대한 설명을 듣고, 3차 회의 때는 운송원가 검증과 적자노선 개선 등을 포함한 용역 발주에 대해 의견을 제시한다. 이어 7월부터 시민참여단을 구성하고 대토론회와 설문조사 등 숙의 과정을 진행한다. 연말까지는 시민의 이동권을 보장하기 위한 최종 권고안을 목포시에 제출한다. 시는 이 권고안을 바탕으로 시내버스 운영·지원 정책을 원점에서 다시 짠다는 방침이다.
공론화위는 2019년 제정된 목포시 공론화위원회 설치·운영 조례를 근거로 목포에서 처음으로 구성됐다. 위원으로 시의원 3명, 사회인사·시민대표 6명, 운수업계 2명, 학계 2명, 법조·회계 각 1명 등 15명이 참여했다. 회의는 위원 3분의 2 출석으로 개회돼 과반수 찬성으로 의결한다. 지난 25일 1차 회의를 열어 정기영 세한대 교수를 위원장, 박경옥 목포시여성단체협의회 회장을 부위원장으로 뽑았다.
시 교통행정과 박두옥씨는 “시민대표들이 직접 민생의 중요한 현안을 논의한다는 데 의미가 있다. 시는 권고 사항을 최대한 반영하기로 했다”고 전했다.
앞서 태원여객·유진운수는 지난 4월27일 “적자가 누적돼 7월부터 1년 동안 휴업하겠다”고 휴업허가를 신청했다. 시는 지난 4일 “시민의 이동권 보장에 차질이 빚어지는 사태를 방치할 수 없다”며 신청서를 돌려보냈다. 공론화위는 버스업체와 자치단체의 대치를 해소하기 위해 설치됐다.
두 업체는 지난 50여년 동안 목포시내버스 노선을 독점해왔다. 규모는 버스 157대 직원 400여명에 이른다. 시는 지난 5년 동안 적자노선에 세금 187억원을 보조하는 등 지원해왔다. 이 때문에 일부에서는 “휴업은 지원금을 노린 꼼수”라며 “차라리 공영제를 시행하자”는 의견을 내놨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호남 기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