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종식 목포시장(오른쪽)과 박우량 신안군수는 지난해 7월 <목포문화방송> 토론회에 출연해 행정통합에 합의했다. 목포시 제공.
지방소멸 위기감이 높아지면서 전남 목포시와 신안군이 통합추진 주민단체를 꾸리는 등 7번째 통합논의에 나섰다.
7일 목포시와 신안군의 말을 종합하면, 양 지역이 각각 위원 25명으로 통합추진(준비)위원회를 발족해 통합의 필요성을 알리며 주민 설득에 나섰다. 목포의 통합추진위(위원장 배광언 전 전남도의장)는 지난 2일 발족식을 열었고, 신안의 통합준비위(위원장 주장배 신안문화원장)는 지난 4월 하순 출범했다. 두 단체는 지난 3월 한국 섬 진흥원 유치를 따로따로 신청한 목포시와 신안군을 설득해 단일화를 이루면서 목포 설립을 확정 지었다. 이후 통합에 대한 공감대를 넓히면서 활동을 본격화하고 있다.
7번째 통합 논의는 지난해 7월 <목포문화방송> 토론회에 출연한 김종식 목포시장과 박우량 신안군수가 행정통합에 합의한 것을 계기로 급물살을 탔다. 박 군수는 먼저 “하나의 생활권인데 행정기관이 이원화돼 불편하다”고 문제를 제기했고, 김 시장은 “통합하면 서남해안 중심도시로 발돋움할 수 있다”고 화답했다. 신안은 주민의 복지 교육 문화 의료 수준의 향상을 바라고, 목포는 비좁은 도시영역을 확장할 수 있다고 본다.
실제 통합은 특별법 제정과 주민투표 등 절차를 고려할 때 내년 6월 지방선거 전에는 어려운 실정이다. 통합의 완성이라고 볼 수 있는 통합시장 선거 시점을 목포에선 2024년 국회의원 선거, 신안에선 2026년 지방선거로 잡고 있다. 하지만 최근 김 시장이 통합시장에 출마하지 않겠다고 밝혀 일정이 당겨질 가능성이 열렸다. 배광언 목포신안통합추진위원장은 “차분히 준비해 11월쯤 간담회와 토론회를 본격화하려 한다. 신안 1004대교의 개통 이후 왕래가 활발해진 덕분에 통합 여론이 높아지고 있다”고 전했다.
앞서 목포·신안·(무안)은 지난 1994년부터 2012년까지 6차례 통합을 추진했으나, 주민투표나 여론조사에서 무안군민이나 신안군민이 번번이 반대해 좌절된 바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한겨레 호남 기사 더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