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호남

“백성이 도륙당하는 것 막아”…을묘왜변 때 의병 양달사·달수 공적서 나와

등록 2021-06-08 17:05수정 2021-06-08 17:21

임진왜란 37년 전 왜구 6천명에 맞섰던 의병장 기려
1555년 을묘왜변 때 의병장 양달사·달수 형제의 활동을 기록한 통문. 전남도청 제공
1555년 을묘왜변 때 의병장 양달사·달수 형제의 활동을 기록한 통문. 전남도청 제공

의병박물관을 건립 중인 전남도가 1555년 을묘왜변 때 활약했던 의병장 양달사(1518~1557)·달수(1515~1558) 형제의 통문(공적서)을 기증받았다.

전남도는 8일 “임진왜란이 일어나기 37년 전 왜구 6천여명이 배 70척을 타고 상륙해 전라도 일대를 유린할 때 맞서 싸웠던 의병장인 동생 양달사와 형 달수의 통문을 기증받았다”고 밝혔다. 이 통문은 영암의 제주양씨 주부공파 후손인 양진근씨가 기증했다. 이 자료는 한국학호남진흥원에서 보관하다 의병박물관에 이관된다.

통문에는 “을묘년 왜구가 창궐했을 때 수령들이 도망가고 성을 버리고 제 몸만 보전한 사람도 있었지만, 해남현감 양달사와 영암의 참봉 양달수가 몸을 돌보지 않고 의병을 일으켰다. 두 형제는 전라병사와 장흥부사가 숨지고 강진 병영 장흥 완도 진도 등 고을 10여곳의 수령이 도망친 상황에서 기발한 계책으로 적들을 격파해 팔도 백성이 도륙당하는 것을 막아냈다”는 공적이 담겼다. 이 통문은 1842년 전주향교에서 작성했다.

이후 헌종 13년(1847년)에 기록한 <승정원일기>에는 ‘양달사는 통정대부 좌승지에, 양달수는 사헌부 지평에 추증하라’는 내용이 올랐다. 이영현 양달사현창사업회 사무처장은 “두 분 관련 기록은 1555년 12월 2일 <조선왕조실록> 명종편에 실렸고, 1750년대 영조 때 편찬한 <여지도서>에도 자세하게 올라있다”며 “통문은 두 분의 활약을 입증할 귀중한 사료”라고 말했다.

전남도는 2025년까지 440억 원을 들여 나주시 공산면 신곡리 일대 터 33만㎡에 연면적 8300㎡ 규모의 남도의병 역사박물관을 짓기로 하고 자료를 기증받고 있다. 안관옥 기자 okah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1.

한국사 강사 전한길 “계엄령=계몽령”…음모론 이어 또 망언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2.

무주 설천봉 109.9㎝…설 연휴 폭설에 시달린 전북

제주서 어선 2척 좌초…15명 중 2명 사망·2명 실종 3.

제주서 어선 2척 좌초…15명 중 2명 사망·2명 실종

새벽 도로에 누워있던 30대…깔고 지나가 숨지게 한 택시기사 ‘무죄’ 4.

새벽 도로에 누워있던 30대…깔고 지나가 숨지게 한 택시기사 ‘무죄’

한살부터 18살까지 다달이 20만원씩…전라남도, 출생기본수당 첫발 5.

한살부터 18살까지 다달이 20만원씩…전라남도, 출생기본수당 첫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