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전국 제주

[제주 4·3] 법 앞에서 / 허영선

등록 2021-04-02 19:59수정 2021-04-03 02:35

허영선(시인, 제주4·3연구소장)

법 아닌 법인 줄 몰랐습니다
죄라면
좋은 세상 꿈꾸며 속솜하지 않던 죄, 맞습니다
죄명도 기록도 모른 사람들,
풀잎처럼 이 산천 저 산천 이송되었습니다
법 아닌 법 앞에서

당신은 귀환하지 못했습니다
한 방에 사라졌습니다
법 아닌 법 앞에서

기억합니까
산이 바다에 이르듯
달이 별에게 이르듯
아가야 곧 다녀오마
마지막 숟가락 마지막 목소리 펄럭이던
바람길 바닷길 떠나서 돌아오지 않는 사람을
기억합니까
이 눌 저 눌 재속에서 몸부림치던
감자알 같던 허공의 사람들을

기억합니까
봄날에도 겨울처럼 떨며 어디론가
사라져버린 이름 없는 어린 눈동자들을
팡팡 몰아치던 눈보라에 잡은 손 흩어지던 기억을
온 섬이 상주 없는 곡소리
상주가 될 아이들이 조문하는 섬
발굴하지 못한 뼈들의 섬입니다
어머니 아버지 부르지 못한 등뼈 휘어진 풀씨들
흐린 얼굴들 알아볼 수 있겠습니까

기쁘다는 말 몰랐습니다.
당신의 아이가 당신 목숨 갑절도 더 넘길 때까지
슬픔도 하도 슬프면 눈물마저 숨는 법
누구는 환호할 땐 환호해야 마땅한 법이라지만
솟구치는 열광은 먼 바다에 흘렸다지요
행복하면 안 되는 법인 줄 알았습니다
사랑하는 법조차 몰랐습니다
돌아서는 그 눈빛을 몰랐습니다

이 섬이 돌아서서 울려 합니다 울지 마세요
죄라면 우는 법 푸르게 웃는 법 알았던 죄
울음에도 색깔이 있던가요
사납게 찢어지던 더러운 폭포 소리, 소리들
와랑와랑 밀려오던 미친 풍경들
대체 아름다운 것은 어디 있습니까
그러니까
이 섬이 하는 말
일생 기분이 안 났습니다

누구나 당연한 건 당연하다지만 당연하지 않았습니다
홀로 핀 동백이 홀로 질 때까지
꽃봄은 영영 타버린 줄 알았습니다

누구나 그러할 때 그러면 안 되는,
안 되는 게 법인 줄 알았습니다
서로 서로 사는 법 알았습니다 한숟가락 남겨라
남겨야 옆집으로 넘겨준단다
그래서 살았습니다

터질 땐 터져야 하는 법
기쁠 땐 기쁨하라 흔들리며 소송합니다

아침에 본 사람 저녁에 안 보이던,
사람씨 풀씨마저 안 보이던 시절
죄 없이 죄가 된, 법 아닌 법 앞의 사람들
모욕도 수치도 속수무책 법 아닌 법 앞에서
눈도 입도 다물던 사람들, 이제 한번
묻습니다 법 앞에서

거기 꽃 피었습니까

여기 꽃 피젠 헴수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언론 자유를 위해, 국민의 알 권리를 위해
한겨레 저널리즘을 후원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전국 많이 보는 기사

‘간첩 혐의’ 민주노총 간부 3명, 5~15년형 법정 구속 1.

‘간첩 혐의’ 민주노총 간부 3명, 5~15년형 법정 구속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2.

시민단체 “오세훈, ‘윤 변호’ 배보윤·도태우 서울 인권위원서 해촉하라”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3.

신령이 노닐던 땅, 경주 낭산 ‘왕의 길’을 걷다

송철호, ‘울산시장 선거개입’ 무죄 이어 ‘뇌물수수’ 혐의도 1심 무죄 4.

송철호, ‘울산시장 선거개입’ 무죄 이어 ‘뇌물수수’ 혐의도 1심 무죄

눈길 견인차에 치여 버스기사 숨져…폭설·한파에 사고 속출 5.

눈길 견인차에 치여 버스기사 숨져…폭설·한파에 사고 속출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